◈ 격국(格局)의 의미 |
|
격국(格局)은 사주의 그릇이고, 틀이며 구성적 특징입니다.
『격국호상인적구체(格局好像人的軀體), 용신호상인적정신(用神好像人的精神)』이라 하여 |
격국(格局)은 사람의 몸과 같고 용신(用神)은 사람의 정신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
|
격국은 일반적으로 내격(內格)과 외격(外格)으로 크게 나눕니다. |
그 중 내격이 대략 80%로 사주의 대부분이 내격에 속합니다. |
외격은 변격(變格)이라고도 하며 대체로 전왕격(專旺格), 종격(從格), 종화격(從化格) 등으로 |
분류하고 이외에도 40 여개의 제격(諸格)이 있습니다. |
|
◈ 내격(內格) |
|
정관격(正官格) |
|
일간(日干)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서로 다른 사주를 말합니다. |
즉, 갑목(甲木) 일간(日干)이 신유월(辛酉月)에 태어나고, 천간에 辛金이 투출 되면 정관격입니다. |
|
<예> |
時 |
日 |
月 |
年 |
겁재 |
아신 |
편재 |
겁재 |
壬
申 |
甲
戌 |
乙
未 |
辛
巳 |
편관 |
정관 |
정관 |
편관 |
|
|
위 사주는 격국(格局)이 정관격을 이루는 경우입니다. |
정관격은 일간이 강하고 정인이 있으면, 관직에 올라 승승장구 하게 되며, |
일간이 강하고 재성이 있으면 부귀하게 됩니다. |
|
편관격(偏官格) |
|
일간(日干)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같으면 편관격이 됩니다. |
즉, 양일간(陽日干)에 양월지(陽月支), 음일간(陰日干)에 음월지(陰月支)가 되면 편관격이 됩니다. |
|
<예> |
時 |
日 |
月 |
年 |
상관 |
아신 |
정재 |
비견 |
壬
辰 |
辛
未 |
甲
午 |
辛
巳 |
정인 |
편인 |
편관 |
정관 |
|
|
편관격은 일간(日干)이 강해야 편관을 제압할 수 있으므로 귀한 사주가 될 수 있습니다. |
|
정재격(正財格) |
|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극하고 음양이 서로 다른 사주를 말합니다. |
정재격은 재생관살(財生官煞) 하므로 일주(日主)가 왕(旺)함을 필요로 하는데 신왕하고 재가 약한 |
경우에는 식신, 상관이 있어 재(財)를 생(生)해 주어야 합니다. |
|
편재격(偏財格) |
|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극(剋)하되 음양이 같아 음일간(陰日干)에 음월지(陰月支), |
양일간(陽日干)에 양월지(陽月支)로 만나게 되면 이를 편재격이라 합니다. |
|
<예> |
時 |
日 |
月 |
年 |
식신 |
아신 |
상관 |
편인 |
乙
卯 |
癸
亥 |
甲
午 |
辛
巳 |
식신 |
겁재 |
편재 |
정재 |
|
|
편인격(偏印格) |
|
일간(日干)을 생해주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음양이 같으면 이를 편인격이라 합니다. |
격국이 편인격이면 사람됨에 있어서도 심성이 착하고 학문을 숭상하는 命입니다. |
|
<예> |
時 |
日 |
月 |
年 |
비견 |
아신 |
정관 |
식신 |
己
巳 |
己
酉 |
甲
午 |
辛
巳 |
정인 |
식신 |
편인 |
정인 |
|
|
인성격(印星格) |
|
일간(日干)을 생해주는 오행이 월지(月支)에 있고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경우입니다. |
예를 들면 甲 일간(日干)은 자월(子月), 乙 일간(日干)은 해월(亥月)에 태어나는 것과 같은 형태의 |
것을 말합니다. |
|
식신격(食神格) |
|
일간(日干)이 월지(月支)를 생(生)하되 음양이 서로 같은 경우를 식신이라 하고 이러한 사주를 |
식신격이라 합니다. |
식신은 의복과 밥을 뜻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의 기본이 되는 것들입니다. |
|
<예> |
時 |
日 |
月 |
年 |
정관 |
아신 |
정인 |
정관 |
辛
未 |
甲
戌 |
癸
巳 |
辛
巳 |
정재 |
편재 |
식신 |
식신 |
|
|
상관격(傷官格) |
|
식신격과 같이 일간(日干)이 생하는 월지(月支)의 경우를 말하는데 다만 그 음양이 다를 뿐입니다. |
상관격은 총명하고 출중하여 문인, 학자, 예술가 등에 많으며 부귀도 이룹니다. |
|
건록격(建祿格) |
|
건록격이란 일간(日干)과 월지(月支)가 같은 오행이고 음양도 같은 경우를 말합니다. |
즉, 갑목(甲木) 일주(日柱)는 寅月, 을목(乙木) 일주(日柱)는 卯月과 같은 형태입니다. |
|
양인격(羊刃格) |
|
양인격은 겁재와 같이 일간(日干)과 월지(月支)의 오행이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경우가 해당됩니다. |
갑목(甲木) 일간(日干)이 묘월(卯月), 을목(乙木) 日干이 寅月에 태어난 경우를 말합니다. |
|
모든 격국(格局)이 지나치거나 부족함을 피하고 중화됨을 원하는 기본적인 이치를 지니고 |
있습니다. |
|
◈ 외격(外格) |
|
외격은 내격(內格)에 대응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변격(變格)이라고도 합니다. |
외격은 내격만큼 그 쓰임이 많지 않고 작용면에 있어서도 영향력이 크지 않습니다. |
그러나 외격은 그 수가 상당히 많습니다. |
대표적으로 전왕격(專旺格), 종격(從格), 종화격(從化格) 등이 있으며, 그 외에 40 여개의 格이 |
있습니다. |
출처 : 福 祿 仁 壽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