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知識 , knowledge ]


행동 및 의사결정에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정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데이터, 정보, 지식의 개념을 계층적으로 구분해 이해하고 있다. 데이터(data)란 사건, 상황 또는 상태를 설명, 분석, 이해하는 데 필요한 문자, 숫자, 기호의 단편적인 조합으로 어떠한 사실(facts)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정보는 좀더 구조화·형식화되고 요약된 데이터들로 구성된, 의미가 부여된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어떠한 상황에 대한 의사결정이나 해결 방법에 이용하게 되면 이는 곧 지식이 된다. 지식은 일반적으로 명시적 지식(explicit knowledge)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으로 구분된다. 암묵적 지식 내재적 지식으로 개인 및 조직의 행태에 대한 관찰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지식을 말하며 접근이 어렵다. 이에 반해 명시적 지식문서 등의 형태로 표시된 지식을 의미하며 암묵적 지식에 비해 접근이 쉽다. 폴라니(Michael Polanyi)는 특히 암묵적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더 많은 암묵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지식 [知識, knowledge] (행정학사전, 2009.1.15, 대영문화사)

 

 

암묵적 지식[ tacit knowledge ]

 

저자: 양정호(성균관대학교)


우리가 내면에 깊이 가지고 있으면서 또한 개개인만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한 형태로 대체로 경험에 의해서 습득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표현되거나 특정 형태로 전달이 가능하지 않은 지식이다. Michael Polanyi가 특정 인지과정 또는 행위가 의식과 상관없이 실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처음 암묵지식으로 표현하였다. 암묵지식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의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진술이 가능한 형태지식(explicit knowledge)과 대조되는 지식으로 대체로 하는 방식에 대한 앎(knowing-how)과 앎(knowing)으로 구별된다.

예를 들어, 교직경력이 오래된 교육전문가는 대체로 관련 업무에 대한 원리 또는 규칙에 대한 명확한 사고 없이도 업무를 늘 해오던 대로 수행할 수 있는 암묵지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신규교사들은 특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방법 및 기법을 구체적으로 배우게 되는데 이것이 형태지식이다. 신규교사도 시간이 흘러 점차 경험이 많이 쌓이게 되면 점차 암묵지식이 늘어서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암묵지식은 대체로 처음에는 각 개인이 인식할 수는 없지만 적당한 여건만 주어지게 된다면 다른 일반 형태지식처럼 인식이 가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암묵지식 [tacit knowledge] (교육평가용어사전, 2004.5.31, 학지사)

 

 


암묵적 지식
[ tacit knowledge , 暗黙的 知識 ]

 

관련 과학자: 폴라니 (Michael Polanyi), 칸트 (Kant)


폴라니(Michael Polanyi, 1891-1976)에 의해서 중요한 인식론적 개념이 소개되었다. 폴라니는 개인지식(Personal Knowledge, 1958)에서 핵심적인 지식, 도구 그리고 우리의 관심의 대상을 보조적 지식으로부터 구분하였다; 폴라니는 그 후에 암묵적 지식의 이원적 구조를 밝혀냈고, 첫 번째 항은 단지 우리의 인지가 두 번째 항에 참여함으로서만이 우리의 앎이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얼굴의 모습을 알거나, 손바닥에서 느끼는 바, 얼굴을 봄으로서 혹은 못을 박음으로서 느낌을 갖는 것으로, 모습을 보는 동시에 느낄 수 있다는 것은 아마 불가능 할 지도 모른다. 보조적이고 핵심적인 혹은 암묵적(tacit)이고 명시적(explicit)이라는 것은 상호 배타적이지만 논리적으로 상호의존 하는 것이다. 폴라니는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를 시말(始末, ...으로부터...까지, from to) 그리고 원근(proximal-distal)이라는 것으로서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그래서 폴라니에게는 암묵적이라는 것이 인식론적인 찌꺼기가 아니고 명시적인 것의 필수 불가결한 토대(심오한 반 데카르트적인 관점)라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지식에 있어서 주장하는 것은 인식아(認識我, knower)가 이미 내면화한 실마리로부터 그 뿌리를 두는 것이라야 하며, 그리고 이로부터 잘 해야 부차적인 것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말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이다. 자각(awareness)을 조건이라기 보다는 방식(mode)으로서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오해일지도 모른다; 지각에 있어서 대상들 사이의 시말(始末, from-to)관계들을 너무 쉽게 동일시 할지 모르며, 그 대상들 속에서 우리는 대상들에 관여하는 신체적인 단서에 의존하는 것이고(Mereau-Ponty 참조, 1908-1961), 인지적으로는 명제에 의존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말의 개념은, 칸트(Kant, 1724-1804)의 도식화 방식처럼, 이론으로부터 경험에의 응용과 이론과 지식의 역사적 발전관계 속에서 이론사이의 유비적 관계모두를 밝혀줄지 모른다[모형]. 게다가 폴라니의 암묵적/명시적 대조에 있어서 유용할지 모르는 구분이란, 방법(knowing how)과 사실(knowing that)사이, 실용적인 의식과 논증적 의식사이(혹은 생활의 방식과 이론사이), 실행과 능력사이 인 것이고, 이것들은 각각 라일, 비켄쉬타인 그리고 촘스키와 관련이 있다; 공예로서의 과학적 활동의 개념은 비환원적인 것으로 유지된 반면에, 잠재적으로 분해 가능한 암묵적 구성요소가 최근의 과학저술에서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M. Polanyi, The Tacit Dimension(London, 1966), Chap. 1.

[네이버 지식백과] 암묵적 지식 [tacit knowledge, 暗黙的 知識] (과학사사전, 2011.2.1, 이호중)


명시적(외현) 지식
명시적 지식(明示的 知識 Explicit Knowledge)
경찰용어사전 / 경찰·교통용어

 

암묵적 지식이 문서나 매뉴얼처럼 외부로 표출돼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 즉 표현이 가능한 지식을 말함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In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a large part of knowledge is not explicit but tacit. Following Polanyi’s [1] epistemological investigation, tacit knowledg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personal, context specific, and therefore hard to formalize and communicate. Explicit, on the other hand, is the knowledge that is transmittable through any systematic language. Polanyi contends that human beings acquire knowledge by actively creating and organizing their own experiences. Thus, explicit knowledge represents only the tip of the iceberg of the entire body of knowledge.

In addition, Nonaka and Takeuchi [2] defined their dynamic model, called knowledge conversion process, on the assumption that human knowledge is created and expand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between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Knowledge Conversion Process

Effective KM requires a continuous knowledge conversion process. According to Nonaka and Takeuchi [2], and to the contextualization in the medical area provided by Stefanelli [3], it represents a social process between individuals and not confined within an individual. Four different modes of knowledge conversion have been postulated (Figure 1):

  • Externalization (tacit to explicit) is the process of conversion of tacit into explicit knowledge, for example the translation of a clinical trial result into a recommendation for clinical practice.
  • Combination (explicit to explicit) is the process of enriching the available explicit knowledge to produce new bodies of knowledge, for example combining medic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into a decision support system.
  • Internalization (explicit to tacit) is the process of individual learning by repeatedly executing an activity applying some type of explicit knowledge, e.g. a CPG, and absor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ons and results as new personal tacit knowledge.
  • Socialization (tacit to tacit) is the process of learning by sharing experiences that creates tacit knowledge as shared mental models and professional skills (e.g. apprentices learning process, or expert consensus achievement during medical meetings).
Knowledge conversion process by Nonaka and Takeuchi

Figure 1 - The knowledge conversion processes in a knowledge creating organization according to Nonaka and Takeuchi [2].

Implicit Knowledge

De Long [4] asserted that: Tacit/explicit dimension is too general to be useful to managers trying to decide what knowledge transfer prectices would be more effective in their situation. He defined four different states that better qualify the knowledge called "tacit":

  • Implicit rule-based knowledge it identifies knowledge that could be made explicit and codified if agents just have the time and inclination to do so. An example is when technicians are aware that the process explained in a manual is not the best way to complete a task.
  • Implicit know-how it is knowledge that can be communicated but usually is not codified because of the contextual complexity involved... sometimes it is just a matter of the right questions in the right moment.
  • Tacit know-how it is knowledge very difficult to verbalize. It is strictly connected to expertise and t is really hard to articulate because it is so complex and situationally defined.
  • Deep tacit knowledge it is the colletively shared beliefs, mental models and values that determine what individuals view as important and even what they define as relevant knowledge. It is the most difficult to acquire because it is usually transferred unconciously through a set of practices that are unique to every organization.


 

Knowledge as Social Issue »

References

[1] Polanyi M.
The tacit dimension.
London, UK: Routledge & Kegan Paul, 1966.

[2] Nonaka I, Takeuchi H.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Oxford, UK: University Press; 1995.

[3] Stefanelli M.
The socio-organizational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Issue 23, 25-47, 2001.

[4] DeLong David W.
Lost Knowledge: Confronting the Threat of an Aging Workforce.
Oxford University Press (August, 20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