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일체유심조란? "마음이 모든 것을 지어 낸다."는 의미다. 사람들은 흔히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 같은 사건을 놓고도 마음먹기에 따라 '행복하다' 또는 '불행하다'라고 판단한다.
- 인간의 고통도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이란 '불만족'이다.
어떤 사람 혹은 물건에 대하여 기대를 갖는다면 이러한 욕심과 기대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불만족을 느끼게 된다.
* 인간관계에서 상대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했는데 그 기대가 이루어 지지 않을 때 분노가 일어나고
이 분노가 고통을 일으킨다.
0.종교나 심리학에서 인간은 두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 초기불교는 본심(本心)과 망심(忘心),대승불교는 심층 마음과 표층 마음
- 기독교에서는 잠심(潛心)과 분심(分心),
- 요가에서는 사트빅(맑고 고운 마음)과 타미식(무거운 마음)
* 두 마음의 불일치와 갈등 혹은 투쟁에서 인간의 고통이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
- 전자는 본성에 가까운 마음으로 순수의식, 초월 의식, 본래 면목에 가까운 마음이고
후자는 생리적 욕구에 가까운 마음으로 감각적 쾌락, 안락함, 안정 등이다.
* 인간은 성장하면서 지성과 의식이 발달하여 본성에 가까운 마음으로 사는 사람이 있고,
감각적 쾌락이 발달하여 생리적 욕구와 만족을 쫓으며 사는 사람이 있다.
0.인간은 마음과 몸의 두 구조로 되어 있다.
- 인간의 의식에는 마음이 지향하는 의식이 있고, 몸이 지향하는 의식이 있다.
두 마음과 몸의 의식의 갈등이 고통의 원인이 된다.
* 그래서 몸과 마음의 일치를 위한 가르침이 곧 수행이다.
- 기독교 성경에 "마음은 원이로되 육신이 한이로다"(마태복음 26장 41절) 마음과 몸의 불일치에서고통을 표현하고 있다.
- 불교는 몸과 마음의 구조로 된 인간을 무아로 이해한다. 몸과 나를 나의 실체가 가 아니다. 몸도 마음도 나라고 할 수 없다.
다만 일시적으로 조건의 결합으로 실재가 존재한다고 이해이다.
* 달마와 혜가의 대화에서 보듯이 마음이 무아임을 깨닫는 것이 바로 번뇌와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0.마음과 몸의 갈등 요소는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있게 마련이다.
" 나에게 오직 세 적이 있습니다. 내가 가장 손쉬운 적은 어렵지 않게 밀어붙일 수 있는 대영제국입니다.
두 번째 적은 인도 국민으로 이는 훨씬 더 까다로운 상대입니다.
하지만 내게 가장 만만치 않은 적은 간디라는 남자입니다"
(간디의 자서전 중에서 마음과 몸의 갈등으로 괴로움 표현)
0. 마음과 몸이 일치되지 못하는 이유는?
- 첫째 : 자신을 대상화시켜서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동물과 다르게 자신을 대상화시켜서 볼 수 있는 존재이다.
* 즉 '나는 누구냐?' '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물어야 한다.
- 둘째 :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삶은 대부분 외부 세계에 시선을 두고
시선에서 일어나는 느낌과 감각 그리고 생각에 끌려 산다. 따라서 일어나는
느낌, 감각, 생각 등을알아차려야 자동반응하지 않고 선택적 반응을 할 수 있다.
- 셋째 : 바른 견해, 즉 정견이 없기 때문이다.
사물과 현상에 대한 바른 견해가 없다면 바른 언어, 바른 행동, 바른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통찰력과 직관력을 갖지 못할 자신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관념의 세계에서
그 사물을 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통찰력과 직관력을 계발해야 한다.
* 위와 같은 마음과 몸의 일치를 위한 수련이 바로 마음 챙김 명상이다.
마음 챙김 명상을 통해 직관력과 통찰력을 계발하게 될 때 몸과 마음을 일치를 이룰 수 있다.
마음과 몸의 일치로 번뇌 망상으로부터 벗어나면 평정심, 자기 절제, 행복감 등이 증진된다.
- New MBSR 중에서,이재영 著 -
'★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인간이 가진 내면의 고귀함과 아름다움을 보라! (0) | 2020.12.07 |
---|---|
심호흡하고,미소지으세요 (0) | 2020.11.23 |
정견(正見)을 할 때 마음을 챙길 수 있다. (0) | 2020.11.16 |
마음챙김은 심리적 치유의 의미로 사용된다. (0) | 2020.11.14 |
분노와 함께 숨을 고르며 기다린다 (0) | 202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