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한계비용 제로 사회' 출간 맞춰 방한한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

'亞 문화 핫스팟' 한국, 사물인터넷 인프라 구축하라
기술 발전으로 한계비용 낮아져
공짜처럼 쓸 수 있는 재화 공유하는 '협력적 공유경제' 새 담론 제시
서울시 시범사업 정도론 불충분… 전분야 빅데이터 접근성 높여야
입력시간 : 2014/10/13 20:45:28
수정시간 : 2014/10/13 20:45:28
 
"최소한 아시아에서 한국은 문화적인 핫스팟(핵심으로 연결되는 지점)으로 젊은 아이디어가 넘쳐납니다. 하지만 협력적 공유경제를 만들어가기 위해 서울시의 시범사업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좀 더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짜고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가 확산돼 실시간으로 쌓이는 정보(빅데이터)에 모든 시민이 접근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합니다. 현재 인프라스트럭처(사회간접자본) 투자의 25% 정도면 이 모든 게 가능합니다."

신작 '한계비용 제로 사회(The Zero Marginal Cost Society)' 국내 출간에 발맞춰 한국을 방문한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69·사진)은 13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사물인터넷 중심의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980년대 출간한 '엔트로피'를 시작으로 '3차 산업혁명' '노동의 종말' 등의 저술을 통해 자본주의 패러다임의 위기를 진단해왔다. 이번 책에서는 '협력적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담론을 제시했다.

한계비용은 생산물을 한 단위 추가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에너지·통신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 덕분에 갈수록 이 비용이 낮아지고 있다. 심지어 사물인터넷, 3차원(3D)프린팅 등의 신기술로 과도한 초기 생산설비 투자 없이 개인이 대량생산에 나서는 것도 가능한 시대가 됐다. 이 가운데 공짜처럼 쓸 수 있는 재화를 남들과 공유하는 현상이 점점 더 두드러지고 역설적으로 기술적 발전이 기업의 존재가치, 자본주의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상황이 됐다.

그럼에도 리프킨은 자본주의와 공유경제의 공존을 낙관했다. "지난 세기 자본주의 역사가 공유경제를 낳았지만 이제 공유경제가 자본주의와의 공존을 고민하는 시기가 옵니다. 오는 2050년 정도면 자본주의와 공유경제가 뒤섞여 부분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이룰 것입니다."

그에 따르면 공유경제는 특히 디지털 콘텐츠, 뉴스 부문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다. 이미 미국인 40%는 협력적 공유경제에 참여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생산해 지역에서 나눠쓰고 자동차·집 등을 공유하는 '카셰어링'과 숙박중개 서비스 등도 새로운 흐름이다. 특히 저자는 사물인터넷의 발달에 주목한다. 2030년이면 100조개가 넘는 센서가 전세계를 지능형 네트워크로 묶어주고 '한계비용 제로' 현상은 미디어·콘텐츠 부문을 넘어 제조업을 위시한 전 산업 분야로 확산된다는 것이다.

"세계 인구의 절반이 사물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있고 머지않아 100%를 채울 것입니다. 제조·유통·교통·디지털 모든 분야의 빅데이터를 누구나 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어요. 사물인터넷은 이러한 공유를 위해 만들어졌고 투명하고 망 중립적이고 개방형으로 설계됐습니다. 공유하려는 사람에 맞춰진 기술이 공유경제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