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 시니어

성공과 실패의 객관적 기준은 있다.
나에게 주어진 재능과 가능성을 유감없이 달성한 사람은
행복하며 성공한 사람이다.
그러나 주어진 재능과 가능성을 다 발휘하지 못한 사람은
성공했다고 인정할 수 없다.
60의 재능을 타고난 사람이 65나 70의 결실을 거두었다면 성공한 사람이다.
그러나 90의 가능성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70의 결과에 머물렀다면 실패한 사람이다.
- 김형석 교수, ‘백년을 살아보니’에서

 

       23년 11월 8일부터 개강합니다. 전) 042)823 -8416, DS 평생교육원 교육담당 이 재훈 팀장.010-2937-2121

 

 

DS평생교육원장

서두르는 이유가 무엇일까? 친구와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해 본 적은 있는가? 어쩔 수 없이 서둘러야 할 때에는 천천히 서둘러라.

 

속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의 수명을 단축한다. 시간에 쫓기며 사는 사람은 심장질환에 잘 걸리며 사망률도 높다고 한다. 생리학적으로 빠른 심장 박동, 고혈압, 소화불량, 근육 긴장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매사를 서두르는 사람은 심각한 질병으로 인해 이른 나이에 사망할 확률이 높다. 특히 우리 한국인은 급하고 기달리지 못하며 화부터 내는 사람이 많다.

# 일하지 않아도 좋아 (어니젤린스키 作)

 

미국의 철학자 에릭 호퍼는 이렇게 말했다. “서둘러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는 인생을 더 충실하게 살기 위해서나 시간이 없기 때문이 아니다. 단순히 인생을 낭비하고 있다는 막연한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세상에서 가장 바쁜 사람들이다.

 

이밴트 홀에서의 이미지

건강, 행복, 사랑, 평화 등을 필사적으로 쫓을수록 점점 더 멀어져 간다. 일반적인 통념과는 반대로, 목표에 도달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속도를 줄이고 여유롭게 가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결과를 마음대로 통제하겠다는 욕심도 버려야 한다. 통제하려고 들수록 결과는 멀어져 간다.

#여가/은퇴분야

 

말을 타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말이 가고 싶어 하는 대로 내버려 두는 것이다. 인생살이도 마찬가지다. 모든 일을 자기 마음대로 통제하고자 하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 디펙초프라 박사는 ”우주의 리듬을 타라“라고 하였다. 無常(무상)의 진리를 이해하고 우주 환경에 순응하고 집착을 버리고 자신을 통제하려는 마음을 비워야 한다고 하였다.

#명상,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주임교수 김원식의학박사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느끼는 만족감이다. 과정에서의 의미와 재미이다. 속도를 늦추고 상상력을 자극하면 눈에 보이지 않았던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서두르지 않는 것은 바로 지금 여기에서 현상에 머물며 관심을 갖고 집중하는 것이다.

 

일이든 놀이든 제대로 하려면 어리석은 토끼보다 지혜로운 거북이가 되어야 한다. 거북이는 미래의 환상보다는 ‘지금 이 순간에‘ 의미를 만끽하는 태도가 있기 때문이다. 즉 행복은 지금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서두르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토끼처럼 있지도 않고 환상에 불과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안달하며 살아간다. 지금 자신이 있는 곳에 멈추어 현상에 好意(호의)와 好奇心(호기심)을 갖고 찬찬히 살펴볼 때 행복을 느낄 수 있다. 행복은 무상의 진리에 의해 영원하지 않다. ‘지금, 이 순간에’ 있는 의미가 바로 행복이다. # 전세계 베스트셀러 '일하지 않아' 中

 

# Meditator 이경진 올림

 

 

그렇다면

정말 서둘러야 한다면, 천천히 서둘러라!

멈추고 살펴라!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은 명상과정(15주)을  매학3월,9월에 시작합니다

우주 순환의 원리,육십간지(육십간지)

육십간지는 육십갑자라고도 하는데, 같은 원리로 년주는 60년, 월주는 60개월, 일주도 60일 후에는 동일한 일주를 맞는다. 이렇듯 우주 순환의 기본 사이클은 60이다.
천간은 십행의 에너지파동이 있다. 현대 물리학적 의미로 이해하면 ‘고유 주파수’를 가진 10종류의 ‘에너지 파동'이다. 지지는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의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만물의 변화과정이다. 지지는 공전을 기준으로 하여 1년의 순환사이클로 보는데,12개월 동안 12공간의 물질 변화가 일어나며 지구의 자전으로 기준으로 보면 1일 동안 일어나는 변화이다. 물리학적 관점으로 보면 입자, 물질의 영역이다. 마찬 가지로 동양철학에서는 質의 세계로 보았다.

    * 천간과 지지는 하늘과 땅의 시공간이 서로 밀접하여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하에 에너지 변화와 운동성에 근거하여 천간 지지 기둥을 세웠다. 이것은 아이슈타인의 4차원 시공간 개념을 이미 동양에서는 통찰하고 있었고. 양자역학에서 밝혀진 파동과 입자의 본질도 인식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천간 지지 짝을 이루는 것은 과학적 해답은 음간과 양간의 운동성 차이 때문이다. 이들은 양간은 갑, 병, 무, 경,임이고 음간은 을, 정, 기, 신, 계인데, 이들은 지지와 짝을 이룰 때 특정 운동성을 갖는 지지 시공간만 연결한다.
* 양간 火 운동인 寅午戌 삼합 운동과 水 운동인 申子辰 삼합운동을 하는 지지와만 짝을 이룬다.이것은 천간의 양간이 자연 물질 세계에서는 만물의 바탕 에너지인 수,화 운동에만 관여하여 온도와 습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이다.

  * 예를 들어 양간 甲 육집 간지는 甲寅, 甲午, 甲戌 등 火 운동 간지는 있지만, 甲亥,甲卯,甲未 등 木 운동 간지는 없다. 반대로 음간은 지지에서 木 운동인 亥卯未 삽합운동과 金 운동인 巳酉丑 삼합운동만 한다. 즉 음간인 乙은 육집간지에서 乙亥,乙卯,乙未의 木 운동 간지와 乙巳,乙酉,乙丑의 金운동 간지만 있고, 乙寅,乙午,乙戌 같은 火 운동 간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천간의 음간은 지지에서 직접적인 물질로 나타내는 木, 金 운동에만 활동성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십천간 에너지 파동은 양간, 음간의 에너지 특성에 따라 지지에서 양간은 寅午戌 火 운동,신자진 金 운동의 6개 시공간과 기둥을 이루고, 음간인 해묘미, 목운동, 사유축 금 운동의 해묘미 목운동, 사유축 금 운동의 6개의 시공간과 짝을 이루어 기둥을 이룬다. 따라서 십천간 십이지는 120십간지가 되지 않고 육십간지가 된다. 이러한 양간 ,음간의 운동성에 근거한 천간 지지의 결합은 실로 우주 자연의 순환 원리에 대한 과학적 통찰로 볼 수 있다.
천간 지지 짝을 이루는 것은 과학적 해답은 음간과 양간의 운동성 차이 때문이다. 이들은 양간은 갑, 병, 무, 경,임이고 음간은 을, 정, 기, 신, 계인데, 이들은 지지와 짝을 이룰 때 특정 운동성을 갖는 지지 시공간만 연결한다.-현대 명리학과 과학의 만남(안민수) 中에서

<온도와 습도 조절, 한난조습(寒暖燥濕)과 샤를 법칙에  의한 생활리듬을 타라!>

동양철학에서 오행(,,,,) 현대 물리학적으로 이해를 할 때, 오행 중 水(壬,癸)와 火(丙,丁) 는 우주 자연의 온도와 습도를 주관하여 만물과 인간의 활동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壬水(임수,)온도를 하강시키는 응축 에너지이고, 丙火(병화,)온도를 상승시키는 팽창 에너지 특성을 갖는다. 癸水(계수,)온도 하강의 최저점인 壬水에서 陽()기운이 발생하여 습도를 유발되는 시점의 에너지이며, 丁火(정화),음는 최고점에 이른 丙火에너지를 수렴하여 열과 건조함이 생기는 에너지이다.

 

인간이 태어난 생,년,월,일,시에 천간과 지지를 조합한  네 기둥을 만들어 사주팔자를 만든다. 이는 자연 생명체로서 인간이 태어나는 순간에 정해진 공간적, 시간적, 에너지 좌표라고 말할 수 있다. 공간적 개념은 동서남북의 방위를 의미하고  시간적 개념은 봄,여름,가을, 겨울을 말한다.

 

 

 

현대 명리학과 과학의 만남 중에서

 

현대 물리학적 의미로 이해하면 천간은 고유 주파수를 가진 10종류의 에너지 파동이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의 공간(지지)기준으로 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만물의 변화과정이다. 지지는 공전을 기준으로 하여 1년의 순환사이클로 보는데,12개월 동안 12공간의 물질 변화가 일어나며 지구의 자전으로 기준으로 보면 1일 동안 일어나는 변화이다. 물리학적 관점으로 보면 입자, 물질의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동양철학에서는 質의 세계로 보았다.

 

이것을 사주 명리에서 寒暖燥濕(한난조습)이라 하여 사주 해석의 기본원리로 다루며, 이를 조절하는 조후용신(調候用神)은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활동을 균형 있게 만든다. 예를들면 亥子丑月(해자축월,겨울)생이 천간에 임계수(壬癸水)가 많을 경우 寒濕(한습)기운 때문에 모든 육체 활동이 느리고 정신적으로도 소극적이며 차분한 성향을 지닌다. 이때 조후용신으로 병정화(丙丁火)가 있으면 다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을 보인다. 반대로 巳午未(사오미,여름) 월의 여름생이 천간에 丙丁火로 되어 있으면 暖燥(난조)영향으로 밝고 쾌활하며 지나치게 활동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이때도 조후용신인 임계수가 사주에 있거나 운에서 오면 더 안정적이고 침착한 모습을 보인다.

 

온도 습도와 인간 활동성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을 물리학적 근거를  샤를 법칙이라고 한다.* 1787년 프랑스의 과학자 샤를(Charles, J. A. C.; 1746~1823)은 열기구를 공중에 띄우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던 중,‘ 압력이 일정할 때 온도가 높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증가 한다’ 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를 샤를 법칙이라고 한다.

 

온도 차이와 오행 간의 활동성 관계에 대한 과학적 사실은 원자로 이루어진 모든 삼라 만상이 다 적용될 수 있다.따라서 인간도 태어날 때 주어진 온도와 습도 에너지 조건에 따라 활동성 차이가 있다는 한난조습이론은 샤를 법칙에 의해 과학적인 근거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현대 명리학과 과학의 만남,안민수 중에서)

 

아침 저녁의 기온 하강과  습도의 변화, 그리고 하강 추세에 있는 가을, 겨울의 온도와 습도에 한난조습을 적용하여 생활 리듬과 건강 관리하는데 주안점을 갖고, 나이가 들고 면역력이 저하될 때 시간적,공간적 개념을 활용하는 태도를 습관화 하는  것이 어떨까요?

 

유영만 교수는 '유연만의 커뮤니데아'에서 “선천적으로 태어날 때부터 부여 받은  숙명론적인 오행의 기운을 받고 성장하면서 주어진 운명을 재창조하려는 노력의 결과가 의사결정의 기준이자 행동규범인 핵심가치에 고스란히 반영된다고 표현하였다.

    - 2023.103일 아침 Meditator  이 경 진 올림 -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명상기초 과정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는 '명상기초' 23-2차 과정을 9월 첫주부터 운영합니다. 의학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불안, 두려움, 스트레스의 병리 현상 예방을 생활루틴에 명상을 적용하는 쉬운 기법으로 여러분의 건강(정신, 신체, 사회적, 영적)에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이완과 집중 그리고 마음챙김

주인교수 김원식 의학박사(충남대 명예교수), 명상 지도 이경진 체육학 박사(DS 평생교육원장) 팀 티칭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자신의 반응을 제3자 입장에서 관찰한다.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살펴본다. 그 공간 속에는 자유로운 선택이 주어진다. 바로 의미를 선택할 수 있는 힘이 바로 마음챙김이다.

 

이는 마음챙김이 치유의 첫 걸음이며, 이를 위해서는 외부 자극과 나의 반응 사이에 주의를 집중해야한다.그것이 바로 나 자신을 되돌아 보는 마음챙김명상 이다.

기초부터 점진적으로 수업 진행합니다.

회복 단력성을 높이고 행복한 삶으로 변화시키는 6가지 뇌 단련법이 바로 호흡명상, 걷기 명상, 집중 명상, 자애명상,정좌명상1,2 등이다.  분명히 뇌와 행복은 맞닿아 있고 신경가소성에 의한 행복을 끌어당긴다.

* 문의 사항이 있으면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으로 연락바랍니다.

#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명상기초 # 몸과 마음 #불안 #스트레스#우울 #두려움

#호흡 명상, #집중명상,# 이완명상 #바디스캔,#걷기명상,#먹기명상 #종소리 명상

# 마음챙김 명상,#정좌명상1,정좌명상2 #자애 명상

'★ 명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하고 싶은 것 하기 '명상'  (2) 2023.11.24
내면 소통  (1) 2023.10.23
고통의 두 얼굴과 연금술  (0) 2023.07.02
질병을 깨달음으로 바꾸자  (0) 2023.06.30
성숙한 사랑의 의미  (0) 2023.06.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