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엘 캐니만 교수의 2010년 TED 강연입니다.

심리학자인 캐니만 교수는 최초로 경제학자가 아니면서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학자입니다. 그는 인간의 행동과 의사결정이 결코 고전경제학에서 가정하는 이성적 인간처럼 산술적인 이해관계와 기계적 합리성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행동경제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캐니만 교수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경험하는 자아(experiencing self)와 기억하는 자아(remembering self)라는 뚜렷이 구분되는 두 존재가 있다고 합니다. 경험하는 자아는 지금 현재 내가 무엇인가를 경험하는 그러한 자아인데, 이 자아는 지금 벌어지는 기쁜 일이나 쾌락을 즐기고 고통이나 괴로움을 피하려는 자아입니다.한 편, 기억하는 자아는 지나간 경험을 회상하고 평가하는 자아인데, 그러한 “회상”은 이야기하기 (story-telling)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두 자아의 판단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지요.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의 경험과 기억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봅시다. 그가 강연에서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검사가 지속된 시간이고 세로축은 검사받는 동안 환자가 느끼는 고통의 정도입니다. A환자 그룹은  8분간 고통스러운 검사를 받았고 그 고통의 순간은 상대적으로 급작스럽게 끝났습니다.  반면에 B환자 그룹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긴 24분간이나 검사를 받았고 A환자 그룹만큼 고통스러운 순간도 겪었습니다. 두 환자그룹에 있어서 “경험하는 자아”는 B환자그룹의 경우가 훨씬 더 큰 고통을 받았습니다. A환자그룹이 검사를 다 마치고 편안히 쉬는 동안 B환자 그룹은  여전히 고통을 겪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억하는 자아”의 평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검사가 끝나고 1시간이 지난 후에 얼마나 검사가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며 또 다시 이러한 검사를 받을 의향이 있는가를 물었을 때, 놀랍게도 B환자 그룹이 검사를 훨씬 덜 고통스럽고 받을 만한 것으로 기억했으며, 재검사에 대한 의향의 비율도 훨씬 더 높았습니다. 이는 A 그룹의 경우 검사가 고통스러운 순간에 끝났기 때문에 계속 고통스럽게 “기억”하고, B 그룹의 경우에는 고통이 점차 감소하다가 줄어들면서 끝났기 때문에 훨씬 덜 고통스럽게 “기억”하기 때문이었지요. 이처럼 경험하는 자아와 기억하는 자아는 인간이 어떠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해 전혀 다른 평가를 내리는 별개의 존재라는 것이 캐니만 교수의 주장입니다.


경험하는 자아와 기억하는 자아가 별개의 존재라는 캐니만 교수의 발견은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서, 그리고 인간이란 무엇이냐하는 철학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에 대한 전환을 요구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떠한 것이 옳고 그르냐 하는 도덕성의 문제와도 곧바로 연결됩니다. 즉 위의 예에서 의사는 환자의 덜 고통스런 “기억”과 행복을 위해 내시경을 1분 더 그냥 놔두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검사가 끝나자마자 곧바로 내시경을 꺼내는 것이 옳은가? 어떤 쪽이 더 도덕적이고 정의로운 선택인지는 정말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러한 “기억하는 자아”와 “경험하는 자아”의 분리의 문제는 한 개인에게뿐만 아니라 한 공동체에게 해당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정치적으로 어떠한 선택이 합리적이고 정당성을 지니는가 하는 지극히 어려운 문제가 대두됩니다. 이 문제는 존 롤스나 마이클 샌들도 미처 생각지 못했던 정의실현에 관한 새로운 차원의 문제를 제기하는 정치철학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마이클 샌들은 자기이해 “self-interest”의 중요성은 충분히 지적했지만, 자아가 두개의 별개의 존재일 수도 있다는 점은 미처 깨닫지 못한 것이지요.)

'♠ Human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 텍쥐페리  (0) 2012.05.10
존스  (0) 2012.04.08
청춘에 전하는 혜민 스님 인생 잠언  (0) 2012.01.19
칙센트 미하이  (0) 2012.01.17
[스크랩] 레오나르도 다 빈치  (0) 2012.01.08

한국골프전문인협회

행복 story


위기를 돌파하는 힘 '리질리언스(resilience,내공)키우기


리질리언스란 정신의학에는 '복구력이라고 한다'


12월은 버릴 것은 버리고 얻은 것은 간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마련이다.
좌절과 스트레스의 역경을 버릴 수 있는 '리질리언스'를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역경 속에서 흔들렸다. 하지만 어느나라 누구보다도 빨리 위기를 탈출했다.
폴 스톨츠(Paul G. Stoltz)박사가 고안해 낸 역경지수(AQ. Adversity Quotient)란?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끝내 이겨내는 능력을 말한다.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자신의 지혜와 노력으로 이겨내는 능력이다.
성공하는 사람에게 지성지수(IQ), 감성지수(EQ)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이 바로 역경지수이다.
역경지수가 높은 사람의 특징은 이렇다

  1. 지금의 역경이나 실패 때문에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않는다
  2. 자신을 비난하지 않는다
  3. 지금의 이 문제가 언젠가 끝난다는 것과 충분히 헤쳐 나갈 수 있다는 것을 안다
단 여기에는 조건이 있다. 왜 실패 했는지 진지한 자기성찰과 겸손을 통해 배울 수 있어야 '리질리언스'가 생성되는 것이며 일어설 수 있다 (이시형박사)


순풍만선(順風滿船)만이 능사는 아니다. 작은 실수가 저항력과 복구력을 길러주고 역풍, 풍랑도 만나야 강해질 수 있다. 그래야 어떤 역경도 이겨낼 수 있다.
현명하게 슬기로운 대처만이 위기를 이겨낼 수 있게 한다는 결론이다. 위기는 외부에서 오지만 이를 해결하고 극복할 수 있는 힘은 내부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다시 한번 상기하자.


격동의 2010년 우리는 잘 견디고 극복하고 리질리언스를 발휘 하였다. 년말년시 건강 챙기시고 조용히 내공을 다지는 시간을 갖으시길 바랍니다.


교육개발원장 이 경 진 올림


교육개발원


요즘 트위터 더보기

2012년 1얼17일 KGSA에서는 처음으로 티칭프로 10며을 탄생하였다. 24주 120시간교육훈련으로 체계적 학습을 하였다

 

 

 

 

 

 

 

 

 

Morning has broken-Danawinner.wma

 

Morning Has Broken/ Dana Winner

 

 

 

 

Morning Has Broken/Dana Winner 

Morning has broken, like the first morning
Blackbird has spoken, like the first bird
Praise for the singing, praise for the morning
Praise for the springing fresh from the world

Sweet the rain's new fall, sunlit from heaven
Like the first dew fall, on the first grass
Praise for the sweetness of the wet garden
Sprung in completeness where his feet pass

Mine is the sunlight, mine is the morning
Born of the one light, eden saw play
Praise with elation, praise every morning
God's recreation of the new day

Morning has broken, like the first morning
Blackbird has spoken, like the first bird
Praise for the singing, praise for the morning
Praise for the springing fresh from the world

아침이 밝았습니다. 태초의 아침처럼
검은 새가 노래합니다. 태초의 새처럼
새의 노래를 찬탄해요. 아침이 온 것을 찬탄해요
이 세상 모든 것들이 싱그런 모습으로 솟아남을 찬탄합니다

새로 내린 비가 햇빛을 받아 감미롭게 느껴집니다
마치 새로 자란 잔디 위에 내린 첫 이슬같아요
습기 머금은 정원의 상큼함을 찬탄합니다
하느님의 발자국이 지나가 완벽한 모습으로 태어났지요

이 햇빛은 나의 것. 이 아침은 나의 것
에덴의 탄생을 지켜보았던 태초의 빛에서 태어났지요
넘치는 기쁨으로 찬탄합니다. 매일의 아침을 찬탄합니다
하느님이 만들어 주신 새로운 하루를...

아침이 밝았습니다. 태초의 아침처럼
검은 새가 노래합니다. 태초의 새처럼
새의 노래를 찬탄해요. 아침이 온 것을 찬탄해요
이 세상 모든 것들이 싱그런 모습으로 솟아남을 찬탄합니다


 

 

 

다나 위너 (Dana Winner)

출신 : 벨기에
출생 : 1965년
데뷔 : 1989년 싱글앨범 'Top Of The World'


벨기에 사람들이 무척 사랑하는 여가수가 있다.
최근 5년동안 우리로 따지면 10대 가수중에서도 가수왕으로 연속 5회 수상한
다나 위너(Dana Winner)..
1965년생으로 이지적인 미모에 뛰어난 가창력!
그리스의 흰장미로 불리는 국보급 여가수 Nana Mouskouri처럼
9개국어로 노래를 한다는 다나 위너.
벨기에 언어중 프란더스지역의 언어(Flemish라고 합니다)의 아름다움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는 다나 위너는 국제적인 인기를 끄는 가수는 아니지만
그녀의 매력에 일단 빠지게 되면 그녀에 계속 열광하게 만드는
묘한 매력의 여가수이다

  

 

 

 

 

 

 

출처 : 무풍의 돌고도는 세상 이야기
글쓴이 : 무풍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