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견관(傷官見官) 위화백단(爲禍百端)

상관이 왕성한데 다시 정관이 있으면 백가지 재앙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육친 중 일간을 돕는 육친은 인수와 비겁이 있고 일간의 기운을 빼는
육친은 식상,재성,관살이 있다.

 

일간을 설기(洩氣)하는 육친인 상관이 팔자에 왕성하다면 일간은 당연히
또 다시 일간을 극하는 관살이 있음을 싫어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관견관이 되면 일간을 극하는 극신(剋身)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서에서는상관견관을 관장(官長)을 상하게 하고 때리는 경우에 또
관(官)을 보면 관(官)이 필시 용서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일부에서는 상관견관이 된 사주는 관재구설(官災口舌)의 기운을 안고
있으며 관성이 강한 팔자에 식상의 운이 오거나 식상이 강한 팔자에 관성의
운이 와도 관재구설이 발동하여 흉하다고 한다.
 
특히 여자의 팔자에 상관이 위세를 떨치고 있는 데 약한 관성인 남편이
들어 있으면 부부관계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단지 상관견관이라는 하나만 가지고 관재구설이니,

남편을 잡아먹는
팔자니 하는 것이 과연 맞는 말인지 의심이 든다.
상관견관의 폐해는 상관을 팔자에서 쓰려는 데 관성이 있어 쓸 수 없는
상태를 지적함에 있다.
 
상관을 쓰려면 일주가 이를 어느 정도 감당할 힘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관살이 일주를 극하면 당연히 상관을 쓸 수 없다.
그렇다면 운에서 상관운이 오는 것은 좋은 면도 있게 된다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2경맥 전체 그림 보기  (0) 2014.08.23
天干과 地支  (0) 2014.08.21
사주팔자의 6가지 법칙  (0) 2014.06.24
[스크랩] 명리 용어정리1-길격  (0) 2014.06.07
천을귀인 암기법  (0) 2014.06.07

 

 

   팔자란?

  사람의 한평생의 운수. 사주팔자에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해와 달과 날과 시간을 간지(干支)로

  나타내면 여덟 글자가 되는데, 이 속에 일생의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본다. (참조 국립국어원)

 

 

 

'독 안에 들어가도 팔자 도망은 못한다.' , '사나운 팔자는 불에도 타지 않는다'

팔자에 관한 우리나라 속담들인데요. 팔자는 정해져 있어서 거스를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이런 속담들도 있습니다.

'팔자는 길들이기로 간다'

이 것은 습관이 천성이 되어 사람의 일생을 좌우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속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팔자에 대해 '변하지 않는' , '벌써 정해진 숙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도 오랜 역사동안 한편 사람들은 운명의 주인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운명을 조금은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이어 오고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바로 이러한 질문에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동양학자로 유명한 조용한 박사의 특강이 우정사업본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직원들의 기본소양 강화 및 인문학적 상상력을 제고하여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매월 특강을 실시 하고 있답니다.

 

조용헌 박사는 실전에서 요구되는 실용적 동양학 '강호동양학'의 대가로 알려져 있는데요

'백가기행', '동양학강의', '고수기행', '사찰기행', '사주명리학 이야기'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으며 현재 조선일보에서 조용헌 살롱 이라는 칼럼을 기고하고 있는 칼럼리스트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그럼.. 조용헌박사가 이야기 하는  “삶을 개척하는 6가지 방법(팔자를 바꾸는 방법)” 소개합니다.

 

조용헌 박사는 태어남과 죽음에 관한 팔자는 피할 수 없어도 살아가는 동안의 팔자는 고칠수 있다며, 여기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조용헌박사가 제시한 팔자를 고치는 방법에는 첫 째는 적선, 둘째는 명상, 셋째는 풍수를 공부해 명당을 잡는 일, 넷째는 독서, 다섯째는 운명을 아는 일, 여섯째는 스승을 만나는 일이라고 합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조용헌 박사가 강의하는 6가지 방법이 특별하거나 어려운 방법이 아니라, 생활속에 스며있는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더욱 흥미로왔습니다.

 

첫 번째 방법인 적선은 배려, 봉사, 희생이라는 단어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간은 태어날 때 두주먹을 불끈 쥐고 태어나게 되는데, 이것은 힘든 세상살이에 대한 전생의 기억 때문에 지금 태어나는 순간 멋진 인생을 살아보겠다는 신생아의 각오쯤 되리라는 것입니다. 그 각오는 혼자 잘먹고 잘살아보겠다는 다짐은 분명 아니고 사람과 사람속에서 함께 기쁘하고 슬프하면서 때로는 주변사람들에게 희생하고 배려하는 인생이 행복감도 클뿐만 아니라 복을 쌓는 일이며 이것이 모여 인생도 희망적으로 바꿀수 있다고 합니다.

 

두번째 방법은 명상입니다.

 

명상을 보통 2시간 이상하면 눈빛이나 안색부터 다르다고 합니다. 명상을 보통 2시간 이상 해야하지만 바쁜 현대생활에서 어렵다면, 운동을 열심히 하라는 말씀. 자본주의시대를 살아가는 50대의 중년이 질병없이 사는 것만으로 복받은 것이라고...합니다. ^^ 즉 건강한 육체에서 건강한 정신!! 너무 흔한 말이지만 긍정적인 마인드나 평온한 마음은 건강한 육체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세번째, 명당입니다.

 

즉 풍수를 알아서 조상의 묘도 잘 쓰고, 집 터도 잘 잡아야 한다는 것. 그러나 풍수를 공부하기 어려우면 조상들이 꿈을 통해 알려주는 메시지를 잘 활용해도 인생의 어려운 고비를 넘길 수 있다고 하네요. 생사를 넘나들 수 있는 때나, 부동산 계약, 승진, 시험 등 살면서 맞게되는 큰 일앞에는 조상님이 예지몽으로 길흉을 알려준다고 합니다.

 

그러나, 평소 술, 담배, 과식, 욕심 때문에 조상님이 보내는 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 평소 정결한 마음과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정신자세로 생활을 해야 된다네요.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있는데, 조상님의 메시지를 언제든지 수신할 수 있도록 핸드폰 밧데리가 방전되지 않도록 몸과 마음을 항상 청결하고 경건하게 가꾸어야 하겠습니다.

 

네번째, 독서입니다.

 

독서는 운명을 바꿀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날도 우정사업본부 근처에 있는 모 서점를 들려오신 듯 가방을 들고 오셨답니다.) 운이 나쁠 때는 오히려 집밖에 나가지 말고 홀로 있어야 하는데, 혼자 있는 동안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고망동한 행동으로 오해를 사거나 실수를 범하지 않고 오히려 좋은 책을 통해 내공을 쌓아햐 한다는 것이지요.

 

 

다섯번째, 명리학을 공부해서 내 팔자를 아는 것입니다.

 

즉, 팔자를 알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팔자를 안다는 것은 '때'를 알고 기다릴 줄 아는 것이라고 합니다. 겨울에 씨앗을 뿌린다면 좋은 수확을 거둘 수 없듯이, 내 시간이 씨를 뿌릴 수 있는 봄인지 팔자를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때를 정확히 파악해 분수를 모르고 과욕을 부리는 시행착오를 겪지 말라는 것입니다.

 

 

여섯번째, 인생의 결정적인 순간에는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스승이 있으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인생의 스승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큰 것이다. 큰 스승을 만나기 위해서는 마음속에서 항상 염원을 해야한답니다. 그런데, 스승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주변에 있을 수 도 있으니, 멀리서 찾지말고 나와 가장 가까이 있는 직장동료가 스승일 수 도 있으니 곁에 있는 사람들 속에서 인생을 배워가는 방법도 괜찮은 방법이겠죠.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干과 地支  (0) 2014.08.21
상관견관(傷官見官) 위화백단(爲禍百端  (0) 2014.06.24
[스크랩] 명리 용어정리1-길격  (0) 2014.06.07
천을귀인 암기법  (0) 2014.06.07
효신살(梟神殺)  (0) 2014.06.06
var articleno = "15872254";

1. 일주낭건(日主朗健) : 일주가 힘이 있고 뿌리가 튼튼할 때.

2. 약일봉생(弱日逢生) : 일주가 약한데 인수가 생조하고 있음.

3. 정관패인(正官佩印) : 정관격에 정인이 투출함.

4. 정관득록(正官得祿) : 천간에 투출한 정관이 지지에 관성을 깔고 앉음.

5. 정관어인(正官馭刃) : 정관이 양인(겁재)를 제압함.

6. 재관양왕(財官兩旺) : 일주가 중화 또는 신왕하고 재관이 모두 왕성함.

7. 순살유제(純殺有制) : 칠살이 정관의 혼잡이 없고, 식신을 만나 제압됨.

8. 독살승권(獨殺乘權) : 신왕하고 칠살이 당권하여 왕성함.

9. 살인상생(殺印相生) : 칠살이 왕성하고 인수가 있어 통관하여 일주를 생함.

10. 살인상보(殺印相輔) : 식상과 재가 모두 왕성한데 칠살과 인수가 서로 도움.

11. 신살양정(身殺兩停) : 일주도 왕성하고 칠살도 왕성하여 힘의 균형을 이룸.

12. 식살양정(食殺兩停) : 식신과 칠살이 모두 힘이 있고 균등함.

13. 재자권살(財滋權殺) : 신왕하고 재성이 힘이 있어 약한 칠살을 도움.(재자약살격)

14. 거관유살(去官留殺) : 관살혼잡인데 정관이 합거(合去)되거나 상관으로 제관되었을 때.

15. 거살유관(去殺留官) : 관살혼잡인데 칠살이 합거(合去)되거나 식신으로 제살되었을 때.

16. 재인상제(財印相濟) : 재성과 인성이 힘이 적당하여 균형을 이룸.

   *상제(相濟) :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며 형충하지 않고 화합함.

   (정재-편인은 서로 충하지 않고, 편재-정인은 서로 충하지 않음. 정재극정인은 나쁨.)

17. 영인무상(令印無傷) : 월령인수가 형충이 없는 것을 말함.

18. 왕재성국(旺財成局) : 재성이 왕성하여 財局을 이룸.

19. 왕식생재(旺食生財) : 식상이 왕성하여 財를 생함.

20. 상관용재(傷官用財) : 신왕사주에 상관격에 재가 있어 재성을 용신으로 함.

21. 상관용인(傷官用印) : 신약사주에 상관격에 인성이 있어 인성을 용신으로 함.

22. 인상상보(刃傷相輔) : 칠살과 인성이 모두 왕성할 때 양인(겁재)과 상관이 이를 대적함.

23. 종관관왕(從官官旺) : 종관격에 관이 왕성하고 관왕운이 올 때.

24. 종살살왕(從殺殺旺) : 종살격에 살이 왕성하고 살왕운이 올 때.

25. 종재재왕(從財財旺) : 종재격에 재가 왕성하고 재왕운이 올 때.

26. 종식유재(從食有財) : 식신으로 종하는 격국에 재가 있어 소통될 때.

27. 종상유재(從傷有財) : 상관으로 종하는 격국에 재가 있어 소통될 때.

28. 합화무파(合化無破) : 합화격에 충파가 없을 때.

29. 일행득기(一行得氣) : 일행득기격을 이루고 잡됨이 없을 때.

     전왕격을 말하는 것으로 목일주에 해묘미목국,인묘진목방을 이루는 등을 말함.

30. 양신무잡(兩神無雜) : 양기성상격을 이루고 잡됨이 없을 때.

31. 암충득용(暗沖得用) : 암충격을 이루고 관성용신일 때.

     암충격(暗沖格)

     1) 丙午日에 午火가 많아 子水정관을 暗沖.

     2) 丁巳日에 巳火가 많아 亥水정관을 暗沖.

     3) 庚子日에 子水가 많아 午畵정관을 暗沖. 壬子日에 子水가 많아 午火中己土정관 暗沖.

     4) 辛亥日에 亥水가 많아 巳火정관을 暗沖. 癸亥日에 亥水가 많아 巳火中戊土정관 暗沖.

     암충격은 정관이 사주에 나타나지 않아야 眞格을 이룬다.

32. 암합득용(暗合得用) : 암합격을 이루고 관성용신일 때.

     암합격(暗合格)

      1) 甲辰일에 辰土가 많아 酉金정관을 암합.

      2) 戊戌일에 戌土가 많아 卯木정관을 암합.

      3) 癸卯일에 卯木이 많아 戌土정관을 암함.

      4) 癸酉일에 酉金이 많아 辰土정관을 암합.

      암합격은 정관이 사주에 나타나지 않아야 眞格을 이룬다.

33. 오행체생(五行遞生) : 오행이 소통이 잘 되어 주류무체, 생화유통될 때.

34. 이덕부신(二德扶身) : 천월덕이 일주를 도울 때. (비겁)

      천월덕(天月德)은 자비심이 많고 인수와 同宮일때 가장 좋다. 흉살을 제화한다. 대표적 길신.

35. 이덕부관(二德扶官) : 천월덕이 정관을 도울 때.

36. 이덕화살(二德化殺) : 천월덕이 칠살을 제화할 때(인수,식신)

37. 이덕부인(二德扶印) : 천월덕이 인수를 도울 때.

38. 이덕부재(二德扶財) : 천월덕이 재성을 도울 때.

39. 이덕부식(二德扶食) : 천월덕이 식신을 도울 때.

40. 이덕화상(二德化傷) : 천월덕이 상관을 제화할 때(인수,재성)

41. 일주좌귀(日主坐貴) : 일주가 천을귀인위에 앉았을 때.

      천을귀인(天乙貴人)은 대표적 길신으로 貴氣를 가져온다.

42. 관성우귀(官星遇貴) : 정관이 천을귀인일 때.

43. 살성우귀(殺星遇貴) : 칠살이 천을귀인일 때.

44. 인수우귀(印綬遇貴) : 인수가 천을귀인일 때.

45. 재성우귀(財星遇貴) : 재성이 천을귀인일 때.

46. 식신우귀(食神遇貴) : 식신이 천을귀인일 때.

47. 월장부신(月將扶身) : 월장이 일주를 도울 때(비겁)

      월장(月將)은 月支와 합이 되는 지지(寅月이면 亥가 월장)를 말한다. 길신.

48. 월장부관(月將扶官) : 월장이 정관을 도울 때.

49. 월장화살(月將化殺) : 월장이 칠살을 제화할 때(인수,식신)

50. 월장부인(月將扶印) : 월장이 인성을 도울 때.

51. 월장부재(月將扶財) : 월장이 재성을 도울 때.

52. 월장부식(月將扶食) : 월장이 식신을 도울 때.

53. 월장화상(月將化傷) : 월장이 상관을 제화할 때(인성,재성)

54. 길신우마(吉神遇馬) : 길신(정인,정관,식신,재성)이 역마일 때.

     역마(驛馬)는 氣의 沖動으로 경사스러운 일을 주재한다. 이동,발동. 연지,일지로 본다.

55. 흉인봉공(凶刃逢空) : 흉신(칠살,상관,효신,겁재양인)이 공망을 만났을 때.

56. 수목상함(水木相涵) : 수목이 서로 도울 때. 수일주에 목용신, 목일주에 수용신.

57. 목화상휘(木火相煇) : 이른바 木火通明으로 목일주에 화용신, 화일주에 목용신.

58. 금수쌍청(金水雙淸) : 금일주에 수용신, 수일주에 금용신.

59. 금목상성(金木相成) : 金과 木이 서로 다투지 않고 중화를 이룸.

     庚金-乙木, 辛金-甲木, 申金-卯木, 酉金-寅木으로 충극이 없으면서 힘의 균형을 이룸.

60. 수화기제水火旣濟 : 水와 火가 서로 다투지 않고 중화를 이룸.

      壬水-丁火, 癸水-丙火, 亥水-午火, 子水-巳火로 충극이 없으면서 힘의 균형을 이룸.

출처 :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글쓴이 : 얼빵남 원글보기
메모 :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관견관(傷官見官) 위화백단(爲禍百端  (0) 2014.06.24
사주팔자의 6가지 법칙  (0) 2014.06.24
천을귀인 암기법  (0) 2014.06.07
효신살(梟神殺)  (0) 2014.06.06
<식신론>  (0) 2014.06.06

 

천을귀인은 최고길신으로 총명,지혜,선량,인덕을 의미하는 길신으로

반드시 암기해둬야 할 부분이다.

간단한 암기법으로는

갑무경 장군은 축미?

병정해유?

을기자신있어.

..인..오

임계 묘사를 잘해.

    응용해서 잘 암기하세요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팔자의 6가지 법칙  (0) 2014.06.24
[스크랩] 명리 용어정리1-길격  (0) 2014.06.07
효신살(梟神殺)  (0) 2014.06.06
<식신론>  (0) 2014.06.06
去留舒配(거류서배)  (0) 2014.06.06

효신살(梟神殺)

 

구성 

일주 기준 적용

天干

地支

辰 戌

丑 未

효는 올빼미 새를 의미하는데 그게 살이 되는 것은 올빼미가 자라면서 어미 새의 배를 쪼아 어미를 죽인다는 데서 모친과 무정하며 인연이 희박함을 의미한다.

 

인성이란 모친이 자식의 몸을 양육하고 정신적인 훈화를 하며 삶의 도리를 지도하는 것이다. 또한 의식주 생활을 보장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부분에 문제가 생겨서 타가에서 길러지게 되며 모친의 정을 그리워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가운데 정서가 메마르고 사람을 의심부터 하는 버릇이 생기게 되어 일명 삐딱 성격이 생기기도 한다. 격용이 잘 짜이면 이를 악물고 서러운 자신의 처지를 극복하기 위해 분투하게 되며 성공의지를 불태우게 되니 삶의 에너지가 된다.

 

외골수 성격이 되어 사물을 대하는 자세에 원만함보다는 편향된 성향을 가져서 생각을 하더라도 한 곳에 편중되어 파고드는 성향 때문에 전문가 성분이 되기도 하고 종교, 철학, 수도 같은 정신세계에 일가견을 이루기도 한다. 부부간에는 삐딱한 성질 때문에 서로에게 신뢰를 주고받기 어려고 남자는 처가 해주는 따뜻한 밥상을 받아보기 어렵다. 또한 서자출신이 많다.

 

여자는 심리적인 갈등이 많아서 배우자에 대한 마음이 오락가락하여 신뢰감을 잃기 쉽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교, 철학, 명상, 기공수련 등에 몰입하는 경우도 있다. 간혹 외정(外情)을 일으키기도 한다.

己丁庚丙 건명

酉卯寅申   

모친이 일찍 돌아가심으로 부친이 재혼하여 계모가 들어온 경우에 해당한다. 생활에 적응을 못하고  가출하여  기술을 익혀 가정을 이루고 사는데 효신의 작용력이 남아 있어 부부간에도 힘들게 산다.

己己辛癸곤명

巳巳酉巳   

모친을 일찍 헤어지고 결혼하였으나 이혼하게 되었으며 모친의 정이 그리워서 만나는 남자들에게 쉽게 정을 주는 헤픈 여자가 되었으나 돌아오는 것은 상처뿐이었다.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리 용어정리1-길격  (0) 2014.06.07
천을귀인 암기법  (0) 2014.06.07
<식신론>  (0) 2014.06.06
去留舒配(거류서배)  (0) 2014.06.06
命理學에서 본 재물  (0) 2014.05.26

<식신론>

 

- 식신은 칠살을 제(수성, 壽星)하며 생재(복성, 福星)하는 길신이다.

- 식신은 없는 일도 만들어서 창조하는 열성과 노력에 해당한다.(궁하면 통하는 성분)

- 식신은 상대방에게 최선의 봉사와 노력을 다하여 정당한 보수를 받는다.

- 식신생재하므로 봉록을 받아 부모에게 효성하고 가족을 부양하는 최 길신이다.

- 식신은 강자에겐 대결하고 약자에겐 동정하므로 덕망이라 한다.

- 식신은 기호와 취미와 흥미에 흠뻑 도취할 수 있는 성분이다.

- 식신은 예의범절을 우선으로 한다.(명품자존심)

- 식신은 총명성이며 탐구개발의 성분이다.

- 식신은 언어능력과 문장력의 대표자다. 또한 건강신이며 교육과 지도의 성분이다.

- 식신이 득병하면 정신이 산만하여 일사에 집중을 못한다.

- 양일간은 식신에 득병하나 음일간은 식신에 장생한다.

- 도식은 밥그릇이 깨지는 것이며, 효신은 밥그릇을 빼앗기거나 절반으로 줄어드는 이치이다.

- 무조건 년월상에 도식이 있으면 탁해진다.

- 관살이 있을 때에는 식신이 항상 피곤해지니 합살되면 식신은 편안하게 된다.

- 양인이 있어서 탁해질 때에는 양인을 칠살이 합거해야 식신이 유기할 수 있다.

- 정관이 식신과 합하거나 음일주의 경우 정인이 식신을 합거해도 탁명이 된다.

- 식신이 공망되면 헛고생을 하거나 잔병으로 몸이 여리고 약한 상이 되어 기력을 잃게 된다.

- 식신 공망업은 명분업보다는 천직에 어울리며 식신의 직업물상을 백분 이용해야 한다.

- 도식이 있으면 의심이 많고 사교에 결함이 있으며 건강에도 해롭다.

- 식신의 기신은 인성으로서 신강 식신격은 어른들에게 잔소리 듣지 않는 자존성이 있다.

- 우월감이 있으며 어떠한 난관도 개척하고 극복하여 결국에는 출세를 하고야 만다.

- 식신이 명주의 뜻과 총명한 지식이라면 어떠한 간섭을 받아서도 안 된다.

- 천간 식신이 암장상관에 통근하면 상관의 비판성이 발생한다.

- 시지에서 년지까지 역으로 순생을 하게 되면 반포식신이라고 하여 입신개운하여 성공한다.

- 생월에 식신이 있는 것을 천주(하늘의 부엌)라 한다.

- 식신이 건왕하면 식녹이 풍족하고 도량이 넓다. 신체는 비대하고 부귀와 장수한다.

- 년월 식신은 조업이 많은 신이다.(조상 때 번창했다, 유산)

- 일시 식신은 처의 복신이다.

- 식신이 역마와 동거하면 타국에 나가서 가업을 창업하는 자유인이 된다.

- 역마식신이 도식되어 격이 낮아지면 행상, 보부상이 된다.

- 식신도화가 많은 여명은 음란형인데, 색정에 살고 남편을 극하는 고난의 명이 된다.

- 식신 형충공망이면 낡고 더러운 곳에서 사업하면 성공하나 새집을 지으면 망한다.

- 양일 식신은 정관의 간합을 좋아하고, 음일은 인수와 간합하는 것을 좋아한다.

- 사길신 중 식신만은 간합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간합하면 수명이 길다.

- 식신은 상관이 없고 또는 형충파해공망이 없어야 순수하다고 한다.

- 식신이 많으면 편굴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적(불구자, 성격이상자)인 사람이 되기 쉽다.

- 도식, 형충 공망되면 어려서 모유가 적었던가 그렇지 않으면 장성하여 의식에 허덕이게 된다.

- 식신일위가 쇠약하면 한 섬 글을 한 말로 쓰는 격이 된다.

- 기신 식신운이면 인간배신이나 자가당착에 빠진다.(자기 꾀에 자기가 속아 넘어 간다)

- 식신운은 기신이라 할지라도 의식은 구애받지 않는다.(생활력)

- 식신은 설기라고 하나 음양무정의 생인 고로 도리어 일간을 돕는 영양의 신이 된다.

- 음일주 식신은 일간의 장생지이니 힘도 있고 제살도 하는 이중적인 역할을 한다.

- 식신은 건록에 봉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게 되면 식록 또는 재물이 풍족해진다.

- 일간이 신약하면 남의 돈을 벌어주고, 신강하면 자기 돈을 벌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 金水식신은 총명하여 일에 능률이 있고 학식이 높고 또한 능변가이다.

- 水木식신은 명랑청수하며 사회의 물정에 밝고 또한 문필이 좋다.

- 木火식신은 성질이 통명하고 박학으로 명망을 가진다.

- 火土식신은 성질이 매우 방정(하는 일이 바르고 점잖음, 원리원칙주의)하다.

- 土金식신은 가무를 잘 하고 글을 잘 지으며 다예한 사람이면서 욕심이 많다.

- 木식신이 기신이면 신경병, 뇌기능장애, 간 기능 등의 병이다.

- 火식신이 기신이면 심장질환, 안질, 화병, 혈액 순환기장애, 혈루, 생리병이다.

- 土식신이 기신이면 위장병, 당뇨병, 피부병, 아토피성 피부병 등이다.

- 金식신이 기신이면 기관지폐병, 관절, 골수암, 골다공증 등이다.

- 水식신이 기신이면 방광, 신장, 탈수증 등이다.

- 木식신이 희신인데 없으면 안색에 푸른 기가 많아야 건장한 사람이다.

- 火식신이 희신인데 없으면 안색이 붉어야 건장한 사람이다.

- 土식신이 희신인데 사주에 없으면 안색이 황색이라야 건강한 사람이다.

- 金식신이 희신인데 없으면 안색이 백색이라야 건강한 사람이다.

- 水식신이 희신인데 없으면 안색이 검어야 건강한 사람이다.

- 기신오행의 색채가 안면에 비치면 건강에 장애를 예고함이다.

- 춘하추동계절에 따라 희기구분하고 안색을 참고하면 신묘한 통변이 잠재한다.

- 식신도식 남명은 음식조심 여명은 산액조심(약신이 있으면 괜찮다)

- 식신도식된 명조가 사묘절운이면 반드시 식독 또는 약물에 재액을 받는다.(복부질환 여부)

- 식신이 왕상하고 재관이 쇠하면 자녀는 어질지라도 남편은 어리석다.

- 식신이 건왕한 여명이면 임신 후 몸에 이상이 생긴다.(설기가 심하므로)

- 여명에 식상이 강하면 자연유산, 산액, 임신중독이 우려된다.

- 남명에 식신이 많으면 상관으로 화하여 지식인연이 약해진다.

- 식신에 겁재도식이 강하면 당뇨병, 위장병 등 신병질고로 인하여 식복이 감소한다.

 

<식신격국론>

 

- 식신격은 재성이 인성의 공격을 방어하여 현실감과 생산성을 키우게 되는 용신제일후보이다.

- 양일간의 식신은 병궁이 되므로 설기가 심하니 정록이 있어 신강하기를 요한다.

- 음일간은 설기는 되어도 장생으로 생기를 얻으니 그다지 신강을 요하지 않는다.

- 식신격에는 인성을 기하는 법이니 정록 일위에 불파하고 장생득위면 신강의 조건이다.

- 식신격이 년상이나 월상이나 시상에 편인이 있으면 자녀가 고독해진다.

- 식신격은 기신인연을 만나면 패재, 신망이니 필시 배은망덕이 발생한다.

- 년시상 식신은 약신이거나 조후희신일 때 가치와 능력을 발휘한다.

- 식신격에 덕수, 천을 및 길신협공이나 협관이면 묘용이 있다.

- 식신이 미약할 때 암신이 도우면 천우신조의 공이 있다.(암신 : 태월, 납음, 인연, 거주지)

- 식신격은 음식솜씨가 탁월하다. 도식이면 음식은 맛있어도 실리는 없다.

- 식신암장에 천의용신하면 의약업에 인연이다.

- 식신격에 상관운이면 작사도모에 구설과 낭패가 생긴다.

- 식신격이 재성배필하면 상부상조의 공덕이 무량하다.

- 식신격이 도식인연과 배필하면 음식으로 단명할 수 있다.

- 신약한데 식신유기면 활동성 직업보다는 전문지식을 이용한 직업이 적당하다.

- 식신격이 편인으로부터 공격을 당하면 도식이고, 타간지 식신이 편인을 만나면 효신이라 한다.

- 식신격에 기신도식이 있고 또한 편관이 일시에 있으면 탄중탄(呑中呑)이라 하여 악사 한다.

- 식신격에 정관, 편관이 있으면 비생산적 사무를 보든가 또는 구류업 등을 직업으로 한다.

- 식신제살격은 기세가 영웅과 같아서 뭇사람을 위압하고 화려하다.

- 여명이 식신격일 때 재관이 있으면 자녀는 어질고 남편은 영달한다.

- 일주와 식신이 모두 강하면 상격이다. 상격의 조건은 천간에 도식, 겁재가 없어야 한다.

- 식신 제살격은 년월상 도식이라도 신강하면 상격에 속한다.

- 식신격에 일주가 강왕하면 음식을 좋아하고, 인품이 관후하고 예절바르다.

- 식신제살격으로 재가 있으면 부귀격이 된다.

- 무재라도 특귀한 인사가 많은데 단, 재성의 인연을 만날 때 대발하여 입신양명한다.

- 식신은 월령을 얻어야 하고, 지지의 기세를 얻어 강함을 얻어야 한다.

- 식신격이 과다면 격국 득병에 일만 많이 벌리고 실속이 없게 되어 무능한 국가가 된다.

- 복덕격 : 戊日生 庚申時로 명중에 관살, 편인이 없으면 성립된다.(건록이 있으면 도식이다)

- 식신이 당령하여 삼합회국을 이루면 반드시 부귀재원이 무궁무진하다.

- 甲日 巳식신 사유축삼합이면 관성국이 되므로 신강을 요한다.

- 乙日 午식신 인오술삼합이면 식신삼합국이다.

- 丙丁日 辰戌丑未식신은 잡기식신이니 순수한 식신격은 이룰 수 없다.

- 戊日 申식신이 신자진삼합재국이면 최길격이다.

- 己日 酉식신이 사유축삼합식신이면 차길격이다.

- 庚日 亥식신이 해묘미삼합재국이면 최길격이다.

- 辛日 子식신이 신자진삼합성국이면 차길격이다.

- 壬日 寅식신이 인오술삼합재국이면 최길격이다.

- 癸日 卯식신이 해묘미삼합성국이면 차길격이다.

- 식신재고격 : 자연부귀에 일생 복인이다.(乙日丁未時, 丙日戊戌時, 辛日癸丑時. 壬日甲辰時)

- 金水식신격 : 총명하고, 다능, 다재하고, 학문에 넓다.

- 水木식신격 : 청수, 명쾌하고 백사에 능통한다.

- 木火식신격 : 목화통명이 되어 총명박학으로 이름을 높인다.

- 火土식신격 : 방정하나 항상 막힘이 있다.

- 土金식신격 : 이재에 집착하고 다예, 능문이다.

- 金水식신생재격 : 정밀기기, 섬유, 식품제조가공, 농산물유통, 수업 등에 성공한다.

- 水木식신생재격 : 의류 및 섬유업에 대성하고 식품업도 성공한다.

- 木火식신생재격 : 건축, 토목, 설비, 생산제조업 등에 대성하고 음, 요식업도 성공한다.

- 火土식신생재격 : 잡기식신으로 변화무궁하나 대체로 임대, 건축토목에 성공한다.

- 土金식신생재격 : 수업, 유통, 주류업, 운송, 해운, 기계생산, 제조업 등에 성공한다.

- 金水식신격 : 금다면 융통이 부족하니 조화가 없다. (금다수탁)

- 水木식신격 : 수다면 표류하니 개화결실이 안 된다. (수다목부)

- 木火식신격 : 목다면 화력이 강하여 무기력 해진다. (목다화식)

- 火土식신격 : 화다면 황무지가 되어 개척이 어렵다. (화다토초)

- 土金식신격 : 토다면 생수를 못하니 무능력 해진다. (토다매금)

- 건록 식신은 복력이 후하고, 재와 의식이 풍족하다.(甲日 丙寅月)

- 식신복집이란 식신이 문창, 학당, 관인, 록마 등과 동궁하는 것을 말하고 위대한 능력이 있다.

- 잡기고중식신이 길신으로 귀기를 띠면 축재무궁하다.

- 식신격이 정기신구족하고 장성, 문창에 장생지면 귀명이다.

- 식신이 조후 희신이면 가무화려하고 유흥을 즐기며 안일주의에 빠지기 쉽다.

- 식신격에 상관다자는 자식에게 유산이나 사업자금을 대주고 배신을 당한다.(격용신인연 무관)

- 식신격에 재다신약도 용신득병에 해당 되므로 지재(知財)의 직업으로 살아야 한다.

- 식신격으로 일지에 도식이 있으면 처로 인하여 치욕을 받거나 처첩은 무력하다.

- 식신격이 묘지운이면 세상을 하직하거나 병원신세를 지게 되며 개운법은 해외이주다.

- 식신격 입묘운은 치명적이다. 辛酉가 식신인데 丙辰운에 모두 합하고 묘에 입묘한다.

- 식신격이 도식지에 거주하면 건강이 약해지고 득병하면 고생이 많다.

- 배우자 및 동거인의 희기인연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 제살태과는 영웅중독증이다. 술 마시면 큰일 난다.

 

甲 壬 甲 甲 乾命.(6大運)

辰 寅 戌 辰

 

辛巳年까지 고시공부를 하였으나 실패했는데, 평생을 고시만 목표하고 직장은 원치 않는다.

유지나 불성이니 무능한 인생이다. 영웅중독증(식신제살)으로 식신득병에 해당한다.

잡기격으로 戌中辛金이 충출 되었으나 무력하고 식신 재고격이 존재하므로 선업을 한다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군주마음이 壬寅(納音金) 인성에 있으니 요지부동한다.

 

- 식신격에 역마동궁이면 창의적인 의욕이 강하므로 생가를 떠나 창업으로 자수성가한다.

- 식신격에 공망이면 구류 및 공망업인데, 신약, 격약하고 불운하면 한직이다.

- 식신격이 정재를 보면 정직한 물질업, 금융업, 기술생산업에 관한 사업이 어울린다.

- 식신격은 의식주성분이므로 의업, 식업, 주업 등에 가장 이상적이다.

- 잡기식신격은 조화가 다단하므로 개고여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 식신격이 강하면 설기구(재성)를 봉쇄하는 겁재운은 지극히 불길하다.

- 식신제살격은 식신과 칠살을 화해하는 용신운이 좋다.

- 식신격에 제살이면 경중을 논할 필요 없이 상격이다. 단, 신강함을 원한다.

- 신강의 조건으로는 정록 일위거나 장생득지면 족하고 기타 비겁은 도리어 해신이다.

- 식신이 많으면 정인운은 무관하고, 식신이 적으면 인성을 기한다.

- 식신제살의 대운이 오면 그 십년간은 흉을 화하여 광명이다.

- 식신격은 일간이 약하면 록, 장생운에 명리가 발달하고, 도식 운엔 실패다.

- 신왕에 식신이 경하면 식신운, 관살운은 해롭지 않다. 단 식신을 피로하게 하면 불길하다.

- 식신격에 겁재운이면 의욕은 강력하나 허욕이 앞서므로 위법이 생기거나 실속이 없다.

- 대체로 대운겁재는 동업자등의 유혹으로 확장을 도모한다.

- 식신이 강왕한데 인성운이면 구원의 사건이 발생한다.

- 대체로 식신격이 인성운을 만나면 귀찮은 사람들의 간섭을 받는다.

- 식신격에 살운은 난세를 만난 격이라 싸워 이기면 전리품이 얻게 되지만, 패전하면 관송이다.

- 식신격에 상관운은 이탈인데, 합해주면 면할 수 있으나, 제삼의 방해가 생길 수 있다.

- 용신이 상관과 합을 하게 될 경우는 격은 청해지나 활동에 장애를 받게 될 수 있다.

 

乙 辛 丙 甲 乾命.(4大運)

未 丑 子 寅

 

亥水상관이 오면 寅亥합을 하는데 寅木귀인이 합을 하여 좋을 듯 하나 寅木 귀인재성용신이

겁살과 합을 하여 재의 유통을 방해하고 丙火정관의 장생지가 배신자와 내통하는 이치와 같으므로

업무상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子水식신이 약한 듯 하나 丙子납음오행이 水가 되고, 丙辛合水하여

덕수지기가 되므로 식신이 암신의 도움으로 강해진 경우에 해당한다. 편인과 子丑合은 좋지 못하나

未土가 丑未충하여 합을 방해하므로 해가 아니요 합중에 충발이 되니 더욱 아름답다 할 것이다.

편인운에 낭패가 오는데, 대문 앞(시지)에서 편인은 합거나 충거하는 육신이 있으면 해를 면한다.

역시 길신이 합거되므로 발생하는 폐해가 있는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 잡기식신격은 개고운 발달, 육합운 침체, 잡기격은 신강약을 떠나 무조건 상충하고 봐야한다.

- 양일간 식신이 희신 정관운과 상합하면 명진사해하고 대공이 있다.

 

戊 庚 乙 甲 乾命.(1大運)

子 戌 亥 戌

 

壬辛庚己戊丁丙

午巳辰卯寅丑子

 

총리의 명조다. 午火정관이 조후 희신인데 午亥로 상합하므로 명진사해하게 되었다.

亥水식신격에 辰土 도식운을 만났으나 戌土 수문장이 충거 시켰다.

戊己 인성운이 지나갔으나 수상이 잘 방어했으므로 고심만 있었다.

甲木수상이 식신에 득 장생하여 대단히 위력이 강함을 알 수 있다.

 

* 식신격 용신격국통변

 

- 식신격이 성격되면 국가기반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재성은 국정을 통치하는 수상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관성은 헌법 및 국법질서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겁재는 지하조직이나 야당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도식은 적군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정록은 국력 및 국가의 전통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양인은 주권을 상실한 식민통치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정인은 국가교육수준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비견은 사상이 다른 공조자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상관은 대립하는 좌파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정재는 민중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편재는 국가경제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희신은 군주의 마음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편관은 개혁의 충신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편관은 군정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정관은 민정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운로는 역사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상충은 혁명정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육합은 무능한 정치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천을 등 길신은 외국의 원조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이 공망되면 망명정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흉살은 망국적인 범법자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길살은 근면한 국민과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도화살은 관광(예술, 음란, 문명 등) 국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겁살은 억압통치의 국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망신살은 호전성국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문창, 덕수면 문명국가와 같은 개념이다.

- 식신격에 화개만정하면 민심이 이반하는 국가와 같은 개념이다.

- 년상은 상왕인데 상왕과 유정해야 도덕윤리가 정착한다.

- 상왕이 적군과 의합하면 패륜과 불륜이 만연한다.

- 좌파가 득세하면 국가기강과 국법이 문란해진다.

- 국가보다 수상이 강하면 국정이 문란해진다.

- 민중보다 헌법이 약해도 국정이 문란해진다.

- 군주가 강하거나 약해도 국정이 무능해진다.

- 야당이 강해도 국정이 혼란해진다.

- 적군이 강해도 국민이 불안해진다.

- 범법자가 강해도 사회가 소란해진다.

- 군주와 수상이 불화하면 국정이 혼란해진다.

- 군주가 국가와 수상보다 약하면 반란이 일어난다.

- 군주가 두 마음을 가지면 국가기강이 문란해진다.

- 군주와 수상은 희신이 같아야 태평성대를 누린다.

- 군주와 수상과 국가와 헌법이 균형을 이뤄야 부강한 국가를 건설한다.

- 부국강병하고 국태민안은 국가, 수상, 군주의 마음이 같기 때문이다.

- 흥망성쇠는 역사로 평가받는다.

- 국가기강이 확립되려면 기신이 없어야 한다.

[출처] 식신격|작성자 무영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을귀인 암기법  (0) 2014.06.07
효신살(梟神殺)  (0) 2014.06.06
去留舒配(거류서배)  (0) 2014.06.06
命理學에서 본 재물  (0) 2014.05.26
부처님 오신날  (0) 2014.05.06

 

去留舒配(거류서배)가야 할 것은 가고 머무를 자는 머무르고 짝이 되는 자는 짝을 지어 官煞(관살)이 잘 조정되어 있다는 뜻이다去留舒配(거류서배)()하는 자, ()하는 자, 舒配(서배)하는 자로써 三者(삼자)가 있어야 된다. 다시 말하여 ()이 둘에 ()이 하나라던가 아니면 ()이 둘에 ()이 하나라던가, 이렇게 三者(삼자)로 구성되는 것인데 ()이나 ()중에 그 하나는 () 또는 ()을 당하여 ()하고 官煞(관살)중 또 하나는 ()이 되어 있고 또 官煞(관살)중 하나는 머물러 있는 경우를 말하여 去留舒配(거류서배)라고 한다. 고로 이전의 去官留煞(거관류살)이나 去煞留官(거살류관)()()去留(거류) 2종으로써 성립 되었지만 이것은 舒配(서배)가 하나 더 있어 3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차이점인 것이다.

따라서 조정이 잘못된 ()官煞(관살)이 셋씩이나 있어 官煞混雜(관살혼잡)으로 身弱(신약)하여 煞重身輕(살중신경)으로 파란만장과 苦厄(고액)이 연달아 계속되는 것이며 女命(여명)再婚(재혼), 三婚(삼혼)으로 一身(일신)이 한 곳에 머무르지 못하게 될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 去留舒配(거류서배)가 잘 이루어진 사주는 그 官煞(관살)의 조정이 잘 이루어져서 도리어 부귀하고 복록을 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치를 모르는 術者(술자)들은 흔히 多官煞(다관살)이 되어 大不吉(대불길)하다는 등으로 오판을 내리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되는 것이다.

가령 辛亥年(신해년) 丙申月(병신월) 甲寅日(갑인일) 癸酉時(계유시)라면 年上(년상)辛金(신금) 正官(정관)月上(월상)丙火(병화) 食神(식신)丙辛(병신) ()으로 배필이 되었고(舒配 ; 서배) 月支(월지) 申金(신금) 七煞(칠살)日支(일지) 寅木(인목) 比肩(비견)冲去(충거) 시켰으며(; ) 時支(시지) 正官(정관) 酉金(유금)만이 머물러(; ) 있게 되니, 이것은 분명 年月(년월)이 짝을 짓고 日月(일월)冲去(충거)하고 ()()()하고 있어 去留舒配(거류서배)가 된 것이다. 이런 사주를 두고 여자의 경우 官煞(관살)이 셋이나 있다하여 여러 번 시집을 간다고 단정을 내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斷曰(단왈) 去留舒配(거류서배)紛爭調整(분쟁조정)이라 明辨重輕(명변중경)富貴(부귀)自覺(자각)이라. (단언하면 去留舒配는 분쟁을 조정하는 것이라 무거움과 가벼움을 밝게 분별하는 것으로 富貴를 스스로 깨닫게 된다.)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신살(梟神殺)  (0) 2014.06.06
<식신론>  (0) 2014.06.06
命理學에서 본 재물  (0) 2014.05.26
부처님 오신날  (0) 2014.05.06
사주간명리순서  (0) 2014.04.23

命理學에서 본 재물

 

돈의 속성을 어떻게 보는가? 우선 재다신약(財多身弱)의 이치다. 돈이 많으면 몸이 약해진다고 명리학에서는 설파한다. 재물을 손에 넣으려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신경 쓸 일이 많아진다. 돈이 많으면 옆에서 가만두지 않는다. 잡고 흔든다. 친척들도 도와달라고 손을 벌린다. 주변에서 사기꾼이 모여든다.

큰 재물을 감당하려면 재다신강(財多身强)해야 한다. 몸이 강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판단력이 정확한 것을 의미한다. 어떤 상황의 핵심을 간파해내는 능력, 그리고 상대방의 마음을 읽어내는 독심술(讀心術)이 있는 사람을 판단력이 좋다고 말한다. 명리학에서는 몸을 튼튼하게 강화시키는 방법을 두 가지로 제시한다. 하나는 인수(印綬)를 보강하는 방법이다. 인수는 학문과 공부를 뜻한다. 돈은 많고 몸이 약한 사람은 끊임없이 공부하는 사람을 가까이하고, 본인이 책 보고 지혜로운 사람들과 가까이 놀아야 한다.

그러나 돈이 많으면 대체적으로 주색잡기를 좋아하고, 공부하는 쪽은 싫어한다. 보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자기 동지를 많이 만들어 두는 방법이다. 자기를 보호하는 외호(外護) 인맥을 두텁게 형성해 두어야 한다. 그러자면 역시 주변 사람들에게 돈을 풀어야 한다. 돈을 쓸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을 식신생재(食神生財)라고 부른다.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는 데는 돈을 쓰고, 본인의 주색잡기에는 별로 돈을 쓰지 않는 스타일을 가리켜 식신생재 격이라고 한다. 작은 부자들은 돈을 아껴서 부자 되지만, 큰 부자는 돈을 써서 부자가 된다. 재벌 창업자들의 사주팔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식신생재 격이 많다. 사람을 잘 알아보고, 사람에 대한 투자를 할 줄 아는 팔자가 식신생재이다. 지인지감(知人之鑑·사람을 보는 감식력)이 있어야 쓰는 돈이 보람이 있다.

식신생재 팔자를 타고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윗대 조상 가운데 적선을 많이 한 사람이 반드시 있었다는 사실이다. 조상이 쌓아놓은 복을 후손이 받아먹는 셈이다. 이런 이치를 알고 있었던 지혜로운 부자들은 집안에 우환이 생기거나 몸이 아프면 재물을 풀었다. 주변을 기쁘게 하여 그 기쁜 에너지를 자신이 당겨서 쓰는 셈이다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론>  (0) 2014.06.06
去留舒配(거류서배)  (0) 2014.06.06
부처님 오신날  (0) 2014.05.06
사주간명리순서  (0) 2014.04.23
득령과 득세  (0) 2014.04.23

 

나는 모든 것을 이긴 자요
일체를 아는 사람

나는 모든 번뇌로부터 자유롭고
모든 굴레에서 벗어났노라.

...

스스로 욕망을 파괴하여 자유를 얻었고
위없는 지혜를 성취하였거늘
누구를 스승으로 삼으랴.

나에게는 스승이 없고
천상에서나 지상에서나 견줄 자 없도다.

나는 이 세상의 성자요
가장 높은 스승이며
진리를 깨달은 부처이니라.

모든 감정으로부터 고요함을 얻었고
홀로 열반을 증득하였다.

이제 진리의 왕국을 세우고자
베나레스의 카시로 가노니

어둠의 세계속에서
不死의 북을 울리리라.
(사분율)

이천육백년전 카필라국 정반왕과 마야부인을 부모로 하여 꽃피는 사월 팔일 룸비니원 무우수 아래에서 어린 태자가 탄생하였으니 그가 바로 '석가모니'이십니다.

석가모니는 탄생하자마자 사방으로 칠보를 걸으시며 한손으로는 하늘을 가리키고 또 한손으로는 땅을 가리키며 "하늘 위와 하늘 아래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 삼계가 모두 고통이니, 내 마땅히 이를 편안케 하리라(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인간의 존염성을 상징하는 보편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삼계(三界)란 천상·인간·지옥계를 말하며, 일곱 걸음을 걸어갔다는 것은 지옥도·아귀도·축생도·수라도·인간도·천상도 등 육도(六道)의 윤회에서 벗어났음을 뜻합니다.

'유아독존'의 '나'는 석가모니 개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천상천하'에 있는 모든 개개의 존재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모든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의 존귀한 실존성을 상징합니다.

열반경에 이르길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이라 하였습니다. 중생은 무두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뜻입니다. 불성이란 부처가 될 가능성, 혹은 부처님의 깨달음의 성질등을 불성이라 하며 여래장이라고도 합니다.

석가모니가 이 땅에 오신 뜻은 고통 속에 헤매는 중생들에게 본래 구족되어 있는 '불성(참된 나)'를 깨우쳐 부처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석가모니께선 고된 육신을 이끄시고 팔십평생동안 수 많은 사람들에게 깨침의 길을 일러주시기 위하여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인도 대륙 곳곳을 걸어다니며 전도하시다가 길에서 열반하셨습니다.

하지만 작금의 우리 현실을 돌이켜 보면 부끄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석가모니의 가르침대로 스스로가 '부처'임을 자각하고 '부처'처럼 살아가기는 커녕 오히려 '나만 잘 살면 그만이다' 라고 하는 이기주의가 득세하는 현실입니다.

석가모니는 이릅니다. "억겁의 세월동안 살펴보아도 즐거움은 잠시요 괴로움만 남으니 한번 태어난 것은 반드시 죽어야 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번뇌망상을 멀리 벗어나 뿌리채 뽑아버려 세상을 바르게 깨달아라. 그러한 이를 부처라 말하느니라."

우리 모두가 '부처'임을 자각하고, 빈자일등의 가난한 이웃 사랑과 不二의 평등을 실천하는 삶이 되어지길 발원합니다.

산인은 말합니다. "하늘 위와 하늘 아래 부처님 같은 분 안 계시니, 시방 세계를 다 살펴보아 도 비교할 분이 없도다. 내가 세상에 있는 것을 남김없이 살펴보았더니 모든 존재가 부처의 아들이 아닌 것이 없도다."

더 보기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去留舒配(거류서배)  (0) 2014.06.06
命理學에서 본 재물  (0) 2014.05.26
사주간명리순서  (0) 2014.04.23
득령과 득세  (0) 2014.04.23
월령,당령  (0) 2014.04.19


1. 사주 간명(四柱看命)의 첫 단계는 용신(用神)을 찾고 사주의 그릇(等級)을 분석한다.

⑴ 일간(日干)의 강약왕쇠(强弱旺衰)를 살핀다.

① 일간과 월령(月令)을 중심으로 강약(强弱)은 해당오행의 다과(多寡)로 왕쇠(旺衰)는 십이운성(十二運星)을 중시하여 판단한다.
② 일간과 타 간지와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및 회합형충(會合刑沖)을 따져 본다.

⑵ 일간(體)과 월령(用)의 관계를 살핀다.

일간과 월령의 관계는 일간의 강약왕쇠를 정하는 근간(根幹)이 되며, 아울러 용신(用神)과 격국(格局), 성정(性情)과 심리(心理), 직업의 적성 등과 직접 관련이 있다.

⑶ 조후(調喉)를 고려해 본다.

조후(調喉)는 체용(體用)과 함께 용신을 찾고, 사주의 등급을 가름하여 부귀빈천(富貴貧賤)을 살피는 기준이 된다.

⑷ 용신(用神)과 희기신(喜用忌仇閑)을 논한다.


2. 다음으로 육친(六親)의 희기(喜忌) 및 성정과 심리, 직업의 적성 등을 분석한다.

⑴ 육친(六親)의 희기(喜忌)를 살핀다.

① 해당 십성(十星)과 궁위(宮位)를 함께 참조하고 희기(喜忌) 여부를 감안하여 육친(배우자와 자식, 부모와 형제 등)의 특성(特性) 및 길흉(吉凶)을 본다.
② 대운(大運)의 흐름을 감안하여 해당 육친의 특성 및 길흉 변화를 살핀다.

⑵ 성정(性情)과 심리(心理)를 분석한다.

① 기본적으로 일간의 오행별(五行別), 십간별(十干別) 특성을 본다.
② 일간 대 월령의 관계 즉, 용신과 격국에 의한 특징을 본다.
③ 주변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일간의 간합(干合) 및 성격존(月干, 時干, 日支 등)의 특성을 본다.

⑶ 직업(職業)과 적성(適性)을 판단한다.

① 사주의 등급(等級)을 감안하여 용신과 격국을 위주로 직업의 적성을 본다.
② 대운(大運)의 상황을 참조하여 직업 적성의 변화를 살핀다.


3. 마지막으로 대운(大運)의 흐름에 따라 사주 구조의 변화를 살피고 세운(歲運)에 따라서 일어나는 간지(干支)의 생극제화(生剋制化) 및 형충회합(刑沖會合)에 의한 사상발현(事象發顯)을 십성(十星)과 육친(六親)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통변(通辯)을 함에 필요시 신살(神煞) 등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합니다.]

丹靑 올림
-----------------------------------------------------------
다음으로 벗님들의 참고용으로 책중에 나와 있는 내용을 요약해 올려 드리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命學講義 상의 사주평단]

1. 간강약(看强弱) : 일간을 위주로 하되 다과(多寡), 성쇠(盛衰), 실시(失恃), 득령(得令) 등을 표준으로 강약을 본다.

2. 정격국(定格局) : 월지를 표준으로 격국을 정한다.(外格은 예외)

3. 취용신(取用神) : 억부를 표준으로 용신을 취한다.

4. 논희기(論喜忌) : 용신을 표준으로 희기를 논한다.

5. 사세운(査歲運) : 희기를 표준으로 세운을 검사한다.

6. 추육친(推六親) : 사주상의 육신을 표준으로 육친을 추론한다.

7. 평성정(評性情) : 일간 오행 및 용신 등을 표준으로 설정을 평한다.

8. 단사업(斷事業) : 용신 및 희기를 표준으로 사업을 단한다.


[千古秘傳 상의 감명 순서]

1. 명식 분석 (命式 分析)

① 일간의 강약을 본다.
② 생월에 의하여 격국을 정한다.
③ 격국에 따라서 희기신을 정한다.
④ 조후의 상황을 살핀다.
⑤ 신살 등을 참조한다.

2. 성격 분석 (性格 分析)

성격은 일간 오행과 격국(格局)과 방신(傍神)의 작용으로 정한다.

3. 처자골육 분석 (妻子骨肉 分析)

격국의 희기를 기준으로 하여 육친성의 희기를 논한다.

4. 사업 분석 (事業 分析)

사업선정은 격국으로 정한다.

5. 행운 분석 (行運 分析)

① 대운(大運) : 대운은 10년의 길흉을 보는데, 명식에 대하여 희신은 길운이고 기신은 흉운이다.
② 연운(年運) : 연운은 1년을 기준으로 보는데, 길과 흉은 대운의 지배를 받음이 많다. 대운이 흉하면 길년도 크게 길치 않고 대운이 길하면 연운이 흉하여도 경하다.

6. 기타 (其他)


[用神分析 상의 간명 순서]

1. 용신(用神)의 구조 분석

1) 용신을 찾는다.
2) 희용기구한을 구분한다.
3) 병약이나 조후의 상황도 고려한다.
4) 용신의 등급을 정한다.
5) 그밖에 특색(유무력, 청탁 등)을 관찰한다.

2. 심리(心理)적인 분석

1) 일간의 특성을 본다
2) 주변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글자를 본다.
3) 순서는 우선 陰陽이 다른 것, 다음은 같은 것으로 본다.
4) 음양이 같다면 食傷, 印星, 財星, 官殺, 比劫으로 정한다.
5) 단, 日支의 경우에는 偏일 경우 正의 성분으로 간주한다.
6) 5번의 경우 간주를 할뿐이고, 대입은 본래의 성분을 쓴다.
7) 성격대입에서 일간과 合된 天干이 있으면 최우선으로 적용한다.

3. 사회성(社會性)의 대입

사회성을 대입할 때에 일단 성격분석을 한 것을 활용하고, 직업의 적성을 논할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심리적인 영향과 사주의 등급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1) 직업의 적성을 고려한다.
2) 대운의 상황을 살핀다.
3) 실제적인 일에 대해서 분석을 해본다.

4. 배우자(配偶者)의 길흉

배우자의 글자가 희용기구한에 어떻게 연결이 되어있느냐를 보아 길흉에 대한 정도만 살핀다.

5. 자녀(子女)의 암시

기본적인 상황에서의 길흉을 언급하는 정도로 살핀다.
 
 

'- 格局,通辯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命理學에서 본 재물  (0) 2014.05.26
부처님 오신날  (0) 2014.05.06
득령과 득세  (0) 2014.04.23
월령,당령  (0) 2014.04.19
체질별 학습법  (0) 2014.03.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