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 트랜스 상태에서바로 자동반응하지 않고 대응하는 법을 익혀 습관화 한다.타나브랙의RAIN의첫 두단계 인지(Recognize) 하고 인정(Allow)하는 단계에서 마음 챙김의 현존감을 깨운다면 자유로운 마음의 길로 들어선다.
고요하게 앉자 호흡의 움직임에 집중한다.
상처, 분노, 두려움, 수치심,(트라우마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 이외)에서 중간 정도의 정서적 자동 반응을 유발하는 상황을 떠올려본다. 가족이나 친구와의 갈등일 수도 있고 중독적인 행동, 혹은 직장에서의 고민일 수도 있다. 그 정서가 가장 강렬해지는 지점까지 영화를 보듯 되플이 해서 생각한 다음, 어떤 것이든 당신을 가장 괴롭히는 점에 집중해본다.
스스로에게 질문하라. “내 안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그런 다음 가장 괴롭거나 가장 강렬한 감정을 감지하라.
이제 그 감정에 대한 태도를 자각한다.아마 자신의 경험에 항상 노, 라고 했을 것이다. 뭔가 잘못 되었고 이래선 안 된다고 생각하면서, 그것이 사라지길 바라고 자신이나 타인을 비난하고 변화시키려 하거나 밀어내고 있는가? 실험 삼아 ‘노’라는 말과 그 에너지를 가장 괴로운 부분에 직접 보내보라. 자신의 감정을 거절할 다음, 가슴, 마음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 지 느껴보라.그리고 그런 감정을 자주 느끼는지, 그것이 자신에게 익숙한 부분인지 생각하라.
심호흡을 몇 번하라. 이 상황에서 가장 힘든 부분을 다시 떠올리고 가장 고통스러운 감정을 회상한다. 이번에는 이렇게 질문해보자. 이 감정을 함께 할 수 있을까?” 혹은 “이것을 내버려둘 수 있는가?” 당신이 찾아낸 것 전부를 품을 수 있는 자각의 공간에 이것을 온전하게 그대로 둘 수 있다고 생각하라. 일어나고 있는 것에 노, 라고 거부하던 당신의 그 부분에 예스, 라고 말할 수 있다.
이제 가장 강렬하게 느끼고 있는 것에 “예스”라는 말과 그 에너지를 보내본다. 몸에 어떤 느낌이 드는가? 가슴은? 마음은 ? 확실히, 무조건, “예스”라고 하라. 예스,라고 말할 때 자신의 존재감은 어떠한가?
다가올 며칠, 몇 주일을 상상하라.이런 상황이 다시 발생했을 때 힘든 정서에 이름을 불러주고, 완전히 멈추고,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 멈춰서 자신의 내면에다 예스, 라고 말할 수 있다면 어떤 가능성이 열릴까?
* 붓다는 마라(불교의 창시자 가모니를 여러 차례 유혹한 '욕계의 지배자')에게 다다가 부드러운
목소리로 "마라 ---다시 만났네요. 와서 차 한 잔 합시다."라며 마라를 귀한 손님으로 맞이하였다.
진화생물학과 뇌과학 불교를 만나다『붓다의 과학이야기』. 붓다의 주요한 가르침을 증명하는 과학, 그중에서도 진화생물학과 뇌과학과 관련된 특정 주제 가운데 쉽지만 깊은 깨달음을 주는 과학이야기 47가지를 소개한다. 다윈의 진화론에서 발견한 ‘사성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삶에서 발견한 생로병사의 본질 등 과학과 불교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연결하여 과학 속에서 붓다의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
왜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의 몸은 왜 좌우 대칭일까? 왜 주요기관인 이목구비는 전체 신체 가운데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도 않는 작은 얼굴에 오밀조밀 몰려있을까? 이 책은 이처럼 ‘우리 몸과 마음의 비밀’에 대해 직설적인 질문을 던지고 붓다의 말씀을 빌려 명쾌하고 심오한 답을 제시한다. 독자들은 붓다의 가르침을 쉽게 접근하는 동시에 과학적 호기심까지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명상을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한 김성철 교수의 '붓다의 과학이야기'는 불교는 계시의 종교가 아니라 깨달음의 종교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외부에서 주어진 도그마가 아니라 부처님에 의해 발견된 현대과학과 방법론을 같이 한다는 것도 알게 해준다.
명상 중 '스트레스를 기반한 마음 챙김'(MBSR)은 불교학과 서양 심리학의 융합된 프로그램이었다면 불교를 진화생물학에서 주장하는 弱肉强食이나 適者生存의 자연원리를 한단계 넘어,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는 '깨달음'의 교훈이 깊이 담겨 있슴은 붓다의 철학이 현대 과학의 척도를 넘는 철학,과학이라는 것도 입증되고 있다.
#MBCM(MIND - BODY CARE MEDITATION),# 명상뇌과학 #충남대 평생교육원 #김원식교수,#이경진박사멘탈코칭
한편 인간의 신체를 진화생리적으로 볼 때 뇌의 구조 중 변연계가 가장 많은 진화를 하였다는 학자들의 주장에 깊이 이해하지 않을 수 없으며,불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명상은 感覺學이라고 해도 과언을 아니다. 명상을 진화 생리적으로 관찰된 결과와 명상에 의한 뇌 구조의 변화 역시 현대의학에 의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되었음에 불교 학습을 하는 것도 당연시 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학,뇌과학,진화생물학,심리학 등이라는 지극히 전문적인 분야를 통섭하여 '몸과 마음의 치유과정' 전위적으로 연구와 학습 과정을 열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분 충남대학교 의대 김원식 명예교수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명상뇌과학' 프로그램도 명상과 뇌과학,생리학을 융합된 프로그램이다. 김원식교수님은 몸과 마음이 하나라는 확신에서 MBCM(MIND - BODY CARE MEDITATION)의 연구를 통해서 향후 명상의 기초 및 심화과정, 수련과정 및 지도 과정을 운영 할 계획이다.다시 말하면 명상과 뇌과학,심리학,생리학 등 통합한 '몸과 마음의 치유명상' 발전시키는데 목표를 갖고 있다.
#MBCM(MIND - BODY CARE MEDITATION),# 명상뇌과학 #충남대 평생교육원 #김원식교수,#이경진박사멘탈코칭
•神이 인간에게 내린 金이 세 가지황금,소금,지금이 있는데 그 중 ‘지금’이 가장 소중하다.지금 이야말로 인간이 진정으로 존재하는 순간이다.삶이란 순간 순간 의 지금을 이어온 자취다.지금의 궤적이 바로 나의 존재이고 나의 가치이다.
•과거의 결과가 지금이고 지금의 결과가 미래가 된다.지금 이 순간을 찾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인생을 찾는 것이다.
•숨을 깊고 길게 쉬면서 호흡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면 육체적,정신적 건강을 넘어 형이상학적 차원과 영적인 영역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경험한다.
•숨결의 흐름을 관찰하면서 순간순간을 자각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변화이다.그 중에서도 숨결을 느낀다는 것은 살아가는 삶의 중심을 과거나 미래로부터 현재를 이동시켜 진지하게 바라보는 것이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스트레스,불안,두려움 등은 호흡을 얕고 빠르게 만든다.이러한 나쁜 호흡은 자신의 생명력을 고갈시키고 마음을 조급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일으키므로 이러한 악순환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법은 숨을 깊고 천천히 쉬면서 지금의 순간을 자각하면서 감사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잠자리에 들거나 일어나 전 잠깐만이라도 호흡 명상에 젖어보자.누운 채로 마음을 고요하게 가다듬고,쉼 없이 뛰고 있는 심장 박동소리에 귀를 기울려 본다.가슴 부위가 시원해지면서 얼음이 녹아내리 듯 긴장이 풀어질 것이다.
* 이때 마음속으로 ‘내가 존재하는구나’라고 말하고 숨을 내쉴 때는 '지금’이라고 읊조린다.
지금 이 순간을 감사하게 생각하라.그리고 자신이 존재하는 시간과 공간을 얼마나 확장할 수 있는지도 느껴본다
•숨을 깊고 길게 천천히 마실수록 ,지금 이 순간에 자각도 그만큼 깊고 길어진다.숨을 충분히 내쉰 다음에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숨 정지’도 느껴본다.인위적으로 노력하지 말고 그 냥 떠오르는 느낌을 있는 그대로 즐기기만 하면 된다.
•호흡 명상은 따로 시간을 갖질 필요는 없다.들숨 날숨을 하면서 자신의 심장을 향해 ‘내가 존재하는구나’ ‘지금’을 말 하기만 하면 된다.